1인용 심야온천 등 급증…온천수 사용량 늘어
 |
일본 구주고겐 노천온천 모습. 해당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 [사진 = 연합뉴스] |
일본 온천마을에서 “밤에는 못 씻는다”는 말이 현실화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주요 온천지역에서는 정부의 권고에 따라 숙박을 하지 않는 당일치기 여행객의 온천 입욕을 금지하거나 심야시간 영업을 하지 않는 곳도 늘고 있기 때문이다.
6일 NHK 등 외신에 따르면 일본 사가현의 대표 온천인 우레시노 온천의 수심은 2020년 평균 50m에서 지난해 39.6m로 줄어들며 4년 새 20% 줄었다.
홋카이도 니세코 온천 역시 2021년 이후 수심이 15m정도 낮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일본 지방정부는 당일치기 입욕 금지 조치를 확대 중이다.
일본의 일부 온천지역에서는 밤 12시부터 새벽 5시까지 심야운영을 전격 중단하고, 성수기에는 숙박객이 아닌 외국인의 입욕 자체를 금지하고 있다.
일본에서 온천수 부족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오버투어리즘 때문이다.
더욱이 ‘1인 온천탕’의 급증은 물 부족을 가속화한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코로나19 팬데믹 종식 이후 엔저현상이 나타나면서 일본 온천여행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고, 이로 인해 온천수 사용량이 급증한 탓이다.
실제 일본 관광청에 따르면 2024년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3680만명으로 사상 최고치를 갱신했다.
CNN은 “서양 관광객은 대중목욕탕에서 모두가 옷을 벗고 목욕하는 일본의 관습을 꺼려해 대부분 1인용 온천탕을 예약한다”며 “대중목욕탕 입장료는 3달러지만 호텔 객실의 1인용 온천탕을 이용하려면 수백 달러를 내야 하기 때문에 일본 호텔들은 더 많은 객실에 1인 온천탕을 만들고 있다”고 보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