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예상을 뛰어넘는 관세 폭격으로 촉발된 무역전쟁에 각국이 참전하고 있다.
보복을 다짐하는 한편 협상을 통한 해결책 모색도 꾀하고 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3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25% 자동차 관세에 대응해 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당분간 프랑스 기업이 대미 투자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엘리제궁에서 대미 수출업계 대표자들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하면서 "(미국의 관세는) 잔인하고 근거 없는 결정"이라고 비난하며 이같이 말했다.
일본 자동차 회사 닛산은 당초 미국 공장에 대해 감산을 추진하려던 계획을 접고 미국 내 생산체제를 당분간 유지하기로 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4일 전했다.
지난해 일본의 대미 수출액은 21조2951억엔(약 210조원)이었는데 이 중 자동차가 6조261억엔으로 전체의 28.3%를 차지했다.
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미국의 '관세 폭탄'에 대해 강한 교섭을 지시했다고 자유시보와 연합보 등 대만 언론이 4일 보도했다.
아세안 국가들은 미국의 무역적자 축소라는 트럼프 대통령 목표에 협조하며 일정 수준 타협점을 찾으려 한다.
미국은 베트남과 태국의 최대 수출국이며 인도네시아에는 두 번째, 말레이시아에는 세 번째로 큰 수출시장이다.
46%라는 고관세 통지를 받은 베트남은 긴급 대응팀을 구성해 대책 마련에 착수했고, 태국도 미국산 농산물 수입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태국은 옥수수·대두 등 농산물과 함께 석유·에탄을 비롯한 미국산 에너지 자원 수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신윤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