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 구매하고, 재생에너지 사용”...은행이 온실가스 감축 나선 이유는

글로벌투자사, 금융권 탄소배출량 평가하자
은행권,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적 행보

지난 2월 진완 우리은행장(오른쪽)과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이 재생에너지 직접전력거래 계약 체결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우리은행>

최근 은행권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차원이지만, 최근 금융기관이 탄소중립 달성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한다는 인식이 확산된 것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15일 NH농협은행, 우리은행, 한국산업은행 등 주요 금융기관들이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있다.


농협은행은 지난 14일 온실가스 감축사업 지원을 위해 5개 농가로부터 농업부문 탄소배출권 2886톤을 구매했다고 밝혔다.

농업부문 탄소배출권은 농업인 또는 농업경영체가 저탄소 농업기술을 적용해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감축실적을 배출권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사업이다.

농협은행은 지난해부터 농업인의 감축실적 인증 비용을 지원하고 1419톤의 배출권을 구입했다.

이 배출권은 향후 온실가스목표관리제 개편 시 배출허용량을 상쇄하는 목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본점에서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연간 2000톤이 넘는 온실 가스를 감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우리은행은 지난 2월 한국수자원공사와 직접전력거래(PPA) 계약을 맺었다.

PPA는 전력 사용자가 발전사에서 수자원 등으로 만든 재생에너지를 구매해 기존 사용 전력을 대체하는 제도다.

우리은행은 은행권 처음으로 한국수자원공사와 협력해 본점 건물 전력 사용의 일부를 재생에너지로 대신한다.


산업은행은 한층 더 나아가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함께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 기반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도구’를 공동 개발에 나섰다.

두 기관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84개의 녹색경제활동 중 21개의 경제활동에 대해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자동적으로 산정되는 40개의 산정도구 개발을 완료했다.


이처럼 은행권이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는 금융기관의 역할이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결정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발간한 ‘지구를 지키는 금융의 힘, 은행의 금융배출량 감축 프로젝트’에 따르면 금융기관은 대출이나 투자 등 자금의 흐름을 저탄소 산업으로 유도함으로써 금융배출량을 줄이고, 이를 통해 경제 전반의 탄소중립 전환을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글로벌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금융배출량을 핵심 평가 지표로 관리하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어서다금융배출량이란 금융회사가 투자·대출 등 금융활동을 통해 거래상대의 탄소배출에 간접적으로 기여한 부분을 말한다.


주요 글로벌 투자자들은 기후변화 관련 위험·기회 및 재무적 영향에 대한 피투자기업의 공시를 요구하고 있으며, 금융회사들 역시 기후변화 관련 정보공개 및 기후위기를 고려한 포트폴리오 조정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금융권도 금융지주를 중심으로 ESG 공시를 위한 금융배출량 산출 및 감축 노력을 자발적으로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과제도 안고 있다.

한국 경제의 특성상 제조업 비중이 높고 중소기업 중심의 산업구조로 인해 탄소배출량 감축이 구조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대다수 중소기업들은 녹색전환에 필요한 기술역량과 자금이 부족해 금융기관의 감축목표 달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현실을 감안해 금융권에서는 중소기업의 녹색투자를 위한 지원체계를 강화하고, 금융배출량의 측정 및 평가 기준을 표준화하는 등 실효성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