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매수 정보로 차익거래 늘어
반복적 시세조종 행위 지속
부정거래 수법 교묘해져
 |
트럼프 트레이드, 비상계엄 등 국내 자본시장을 둘러싼 악재들이 겹겹이 쌓이면서 ‘빚투’(빚내서 투자)라 불리는 신용거래융자 잔액이 약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13일 여의도 한국거래소 로비가 한산하다. 2024.12.13[이충우기자] |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2024년도 불공정거래 심리결과, 금융위원회에 총 98건의 혐의사건을 통보했다고 12일 밝혔다.
혐의유형별로는 미공개정보 이용 사건이 59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 중 공개매수 관련 호재성 정보를 이용한 사건이 12건 발생했다.
또 최대주주(경영권) 변경, 자금조달, 신약개발 등과 관련된 미공개정보도 다수 이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시세조종 사건은 16건으로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특정 혐의군의 반복적인 시세조종 행위가 적발됐다.
이들은 CB 전환물량과 사전 매집한 주식을 고가에 매도하기 위해 시세를 인위적으로 조종했다.
부정거래는 18건이 적발됐다.
대규모 자금조달을 위한 허위·과장 공시, 무자본 M&A 관련 부정거래 등이 주요 유형이었다.
특히 실체가 불분명한 해외기업과의 계약 체결, 납입 가능성이 없는 사모CB 발행 등 부정거래 수법이 점차 교묘해지고 있다.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 관계자는 “불공정거래가 점차 복잡·지능화되고 있어 투자자들께서는 기업가치와 무관한 테마주 투자, 잦은 최대주주 변경 및 대규모 자금조달 종목, 온라인을 통한 허위정보 등에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