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출처 = 토스뱅크] |
토스뱅크는 고객이 연체에 빠지기 전에 선제적으로 위험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를 통해 현재까지 약 7만4000명의 연체 부담을 덜었다고 10일 밝혔다.
기존 은행권의 채무 조정이 주로 연체가 발생한 고객을 대상으로 이뤄진 경우와는 달리, 토스뱅크는 업계 최초로 연체 우려 단계에서부터 고객이 주도적으로 위험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도입했다.
경기 불황에 취약한 고객들의 대출 상환 부담을 줄이고 연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려는 목적이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매달 내는 돈 낮추기’와 ‘매달 이자만 갚기’가 있다.
토스뱅크는 2022년 10월 국내 최초로 ‘매달 내는 돈 낮추기’ 서비스를 도입해 운영 중이며, 현재까지 약 4만6000명이 이를 이용했다.
이 서비스는 대출 상환 기간을 연장해 고객의 월 상환 부담을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
상환 기간은 최초 대출 기간을 포함해 최대 10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용대출의 상환 기간이 3~5년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경제적으로 취약한 상황에 처한 고객이 보다 유연하게 상환 부담을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3년 만기 5,000만 원 대출(금리 5%)을 이용 중인 A 고객이 예상치 못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어 ‘매달 내는 돈 낮추기’ 서비스를 통해 상환 기간을 10년으로 연장하면, 월 상환액이 기존 62만 8000원에서 31만2000원으로 줄어든다.
실제로 이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들은 1인당 평균 월 31만 6000원의 원리금 부담을 덜었다.
‘매달 이자만 갚기’는 원금과 이자를 함께 상환하고 있는 고객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원금이 아닌 이자만 갚을 수 있도록 대출 상환 부담을 완화하는 서비스다.
원리금 균등 상환 방식에서 만기 일시상환 방식으로 전환되면 고객은 매달 원금과 이자가 아닌 이자만 납부하면 된다.
해당 서비스는 2023년 4월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약 2만8000명의 고객이 상환 부담을 덜 수 있도록 도왔다.
이를 통해 고객들이 미뤄둔 원금 규모는 약 6000억원에 달하며, 1인당 평균 2140만원의 원금을 만기 일시상환 방식으로 전환했다.
두 서비스는 토스뱅크 신용대출 고객 중 원리금 균등 상환 방식의 대출을 이용하는 고객이 신청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 시 ‘매달 내는 돈 낮추기’는 고객이 신청한 연장 기간에 따라 발생하는 리스크 비용(유동성 프리미엄)이 최소 0.07%포인트(p)에서 최대 0.3%p까지 소폭 반영될 수 있다.
‘매달 이자만 갚기’는 금리가 기존과 동일하거나 소폭 하락한다.
한편, 토스뱅크는 건강한 차주들을 위해 금리인하요구권을 행사하지 않아도 먼저 제안하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토스뱅크 고객은 신용도 개선 여부를 알지 못하더라도 앱 내에서 ‘금리 낮아질 때 알림받기’에 동의하면 토스뱅크로부터 먼저 제안 받을 수 있다.
현재까지 누적 알림 발송건수는 약 35만건에 달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