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규제 풀리자 주담대 증가
전체 가계대출은 3조 증가해

서울시내 한 시중은행 외벽에 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안내되어 있다.

한주형 기자

집을 사기 위해 새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기준·시장금리 인하 흐름 속에서 은행들의 ‘실수요자 위주’ 대출 제한이 연초부터 서서히 풀리고, 최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으로 서울 집값이 들썩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에서 새로 취급된 주택구입자금 목적의 신규 주택담보대출은 총 7조487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1월(5조5765억원)보다 34.3% 늘어난 수치다.

전월 대비 증가율로는 지난해 4월(34.8%) 이후 가장 높다.

취급액도 작년 9월(9조2088억원) 이래 최대다.


이에 반해 정부가 지원하는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대출 비중은 계속 줄고 있다.

이는 정책대출이 아닌 은행들의 일반 주담대가 최근 증가세를 견인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5대 은행의 주택구입자금 목적 신규 주택담보대출 중 디딤돌대출 등과 같은 정책 대출 비중은 지난해 12월 54.6%, 올해 1월 44.0%, 2월 36.6%로 감소세다.

다만 5대은행의 지난달 전체 가계대출 증가는 3조931억원 수준이었다.

신규대출 증가보다 전체 가계대출 증가폭이 적은 것은 상환되는 금액 등이 있기 때문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1·2월 가계 대출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수준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신규대출 증가는 새해 들어 금리인하 기조 속 은행권 ‘실수요자 중심’ 대출 빗장이 하나둘 풀리면서, 이외 수요자에게도 대출이 늘어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예컨대 우리은행의 경우 수도권에서 유주택자가 추가 주택을 살 때도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우리은행은 금융당국의 강력한 대출 관리 기조 속, 지난해 9월 수도권에서 유주택자의 추가 주택 매입시 대출을 제한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및 시장금리 인하 기조 속 대출금리 하락도 주담대 증가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금융당국의 금리 인하 압박 속 신한은행은 오는 14일부터 주택구입자금·생활안정자금용 주택담보대출(금융채 5년·10년물 지표금리 상품 한정) 금리를 0.10%포인트씩 인하한다.

하나은행도 10일부터 대면 주택담보대출 상품(혼합형 금리)의 가산금리를 0.15%포인트 내릴 예정이다.

NH농협은행은 앞서 6일 비대면 주택담보대출과 개인신용대출 금리를 최대 0.40%포인트 낮췄다.


또 토지거래허가제 규제 완화 이후 강남은 물론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에서 부동산 수요가 늘어난 것도 이러한 현상에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