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 조치를 한 달간 유예하기로 했습니다.
미국 경제와 북미 무역에 미칠 영향을 고려한 조치인데요.
그러나 관세 정책이 계속 바뀌면서 각국의 대응도 엇갈리고 있습니다.
현연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트럼프 대통령이 현지 시간으로 6일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일부 제품에 대한 관세를 한시적으로 면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이 적용되는 품목은 4월 2일까지 25% 관세가 면제됩니다.
미국 내 자동차 업계를 비롯한 기업들의 강한 반발과, 관세가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고려한 조치로 풀이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결정을 발표하며 멕시코 정부와의 원활한 협의가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습니다.
▶ 인터뷰 :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오늘 멕시코 대통령과 통화했는데, (그녀는) 매우 훌륭한 분이었습니다. 우리는 관세, 특히 단기 관세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협력했으며, 매우 좋은 대화를 나눴습니다."
멕시코 정부는 이번 유예 조치를 환영하며, 미국과의 무역 관계 안정화를 위해 지속적인 협의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반면, 캐나다와의 관계는 순탄치 않았습니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와의 통화 과정에서 격한 언쟁과 욕설이 오갔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에도 동일한 유예 조치를 적용했고, 캐나다도 당초 예고했던 2단계 보복 관세를 연기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미국 내에서도 이번 관세 조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고율 관세로 인해 자동차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자동차 업계를 비롯한 주요 기업들은 관세 정책의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적인 정책 변화를 예고한 가운데, 우리 기업들도 이에 대비해 철저한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매일경제TV 현연수입니다.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