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스톡스50 연초대비 12% 올라
美 S&P500 1% 상승과 비교돼
ECB 올해 최대 1% 금리인하
유럽자산의 상대적 매력도 커져
트럼프 관세·러-우 종전지연 등 리스크
 |
런던 금융지구 ‘시티 오브 런던’. |
유럽 증시가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인하와 중국의 경기 회복,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 등 복합적 요인이 섞이며 올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미국의 관세 확대 발표로 제조업이 타격을 받을 조짐과 함께 러-우 평화 협정이 교착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커지먄서 향후 변동성이 확대될 수도 있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유로스톡스50 지수는 연초대비 12.2%, 유로스톡스600 지수는 9.76% 상승했다.
특히 독일 DAX 지수는 사상 최고치 수준인 올초 대비 13.27%의 성과를 기록 중이다.
이는 같은 기간 미국의 스탠다드앤드푸어(S&P)500 지수가 1.23% 상승하는 데 그친 것과 대비된다.
유럽 증시가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먼저 ECB의 금리 인하가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ECB는 앞서 지난 1월말 예금금리를 연 3%에서 2.75%로 인하했고, 올해 세차례 더 금리를 내려 100bp(1%포인트) 인하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는 미 연방준비위원회(FED)의 예상 인하 폭(50bp)보다 두 배 큰 수준이다.
이는 유럽 기업들의 차입 비용 감소와 투자 확대를 유도할 것으로 관측되는 한편,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럽 자산 매력도를 부각시키며 글로벌 자금의 유입을 가져왔다.
‘유럽을 다시 위대하게(Make Europe Great Again)’라는 ‘MEGA’가 부각되는 것이다.
실제로 씨티그룹 분석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유럽 주식 펀드로의 주간 순유입액이 20억 달러를 돌파하며 2023년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고, 앞서 1월에도 유럽 상장지수펀드(ETF)에 29.5억 달러의 순유입이 이뤄졌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올해 1~2월 유럽 증시로의 글로벌 자금 이동량은 미국 증시 유입액의 2.3배에 달했다.
이에 연초 모닝스타가 분석했던 유럽과 미국의 밸류에이션 격차(유럽 -5% vs 미국 +6%) 해소 움직임이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특히 유럽의 최대 경제국인 독일의 리더십 변화가 경제 회복의 새 단추를 꿸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다.
2022년 말부터 경기 침체 국면에 빠진 독일은 지난달 총선 이후 친시장 성향의 프리드리히 메르츠 후보가 차기 총리로 유력해지면서 기업 친화적 정책이 강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독일의 채무제한법(정부의 신규 부채 GDP의 0.35% 이내로 제한)등 정책도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독일 재무 건전성 강화를 위해 2009년부터 시행된 이 법안은 경기 하강 국면에서도 독일 재정지출을 늘리지 못해 경기를 더 악화시켰다는 비판이 컸다.
여기에 지난해 4분기 5.4% 성장하며 예상보다 빠르게 침체된 경기를 회북 중인 중국 경제도 유럽 증시 훈풍에 한몫하고 있다.
중국 소비 회복과 공장 가동률 정상화가 이루어지면서 유럽 제조업체들의 수출 주문이 증가했고, 이는 곧 유럽 기업의 실적 개선으로 이어진 것이다.
독일 자동차, 프랑스 럭셔리(루이비통, 에르메스), 이탈리아 명품 기업에 호재로 작용했다.
다만 최근까지 기대감을 불러일으킨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이 교착에 빠질 가능성은 가장 큰 리스크로 꼽힌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공개된 정상회담 자리서 격렬한 설전을 벌이며 회담이 파행으로 끝나서다.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서 생산된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지점도 유럽에게는 악재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연합이 결성된 이유에 대해서도 “미국을 착취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는 등 원색적인 비난을 지속해왔다.
블룸버그는 “미국의 관세가 부과될 경우 유럽연합 수출액 중 최대 293억달러(약 42조원) 가량의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