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간 기술 패권전쟁의 한복판에 있는 인공지능(AI) 부문에서 중국이 관련 자국 기업인과 연구자들에게 미국, 서방 국가 방문 자제령을 내렸다고 1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WSJ는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AI 전문가들이 기밀정보를 유출하거나 미국의 요청으로 2018년 캐나다에서 체포된 멍완저우 화웨이 부회장처럼 외국에서 구금돼 미·중 간 협상카드로 이용될 가능성을 우려해 중국 당국이 이같이 조치했다고 전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중국 당국이 대놓고 AI 전문가들의 서방국 여행을 금지한 것은 아니지만 상하이, 베이징을 비롯해 알리바바와 딥시크 본사가 있는 저장성 등 기술 허브 지역에서 당국이 이러한 지침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들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AI는 물론 로봇공학처럼 전략적으로 민감한 다른 산업 분야에서도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주요 기업 임원들이 미국과 그 동맹국을 방문하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서방 국가의 초청을 거절하거나 방문 계획을 취소하는 경우도 있다고 WSJ는 전했다.

또 이와 관련해 딥시크 설립자 량원펑이 지난달 10∼11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3차 AI 행동 정상회의에 초대받았으나 이를 거절했다고 WSJ는 전했다.


또 일부 소식통은 지난해 중국의 주요 AI 스타트업 설립자가 당국의 지시로 미국 방문 계획을 취소했다고 말했다.


WSJ는 전문가를 인용해 자국이 개발한 기술과 인재 유출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과의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기술 자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중국 당국은 첨단 기술 분야 기업들이 국가의 이익에 기여하도록 압박하고 있다.


지난달 17일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을 대표하는 빅테크 기업가들과 좌담회를 열어 기업인들이 재능을 발휘해 국가 발전에 이바지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재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