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유럽·중남미선 K팝, 북미·아프리카선 K푸드...한류 트렌드 분석해보니

블랙핑크 로제. [사진 출처 = CJ ENM, 연합뉴스]
국제 사회에서 한류 열풍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대륙별로 가장 인기인 한류 콘텐츠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와 유럽·중남미에서는 K팝이, 북미와 아프리카·오세아니아에서는 한식(K푸드)이 가장 큰 관심을 받는 것으로 파악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정보원은 지난 2023년 10월부터 2024년 9월까지 외신 기사와 누리소통망에서 한류 관련 자료 68만건을 수집·분석한 내용을 담은 ‘2024년 글로벌 한류 트렌드 분석 보고서’를 25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와 유럽, 중남미의 한류 콘텐츠 관련 보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분야는 K팝이었다.

아시아에선 35.4%를 차지했고 유럽 25.1%, 중남미 34.9%를 기록했다.


아시아에선 아이돌그룹 방탄소년단(BTS)과 블랙핑크에 관한 보도가 주를 이뤘다.

또 유럽에서도 K팝 가수들에 대한 차트 기록이 집중 보도됐다.

중남미는 한국 아이돌 방문과 월드투어 소식이 주로 다뤄졌다.


반면 북미에선 한식이 26.7%를 기록하며 K팝(23.5%)을 3.2%포인트 앞질렀다.

특히 미국과 캐나다에서 김치 관련 보도와 불닭볶음면 유행 소식 등 한식 관련 검색량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언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 글로벌 한류 트렌드 분석 보고서’. [사진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연합뉴스]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도 한식의 비중이 각각 38.0%, 30.0%를 차지했다.

K팝 비중은 22.6%, 26.7%에 그쳤다.

이들 대륙에선 주로 한식 레스토랑 개점 소식이 집중적으로 보도됐다.


국가별로는 인도(905건), 미국(769건), 태국(461건), 튀르키예(301건), 필리핀(273건) 순으로 한류 관련 보도가 많았다.

인도(41.0%)와 태국(37.5%), 필리핀(32.6%)에선 K팝 비중이 가장 높았다.

반면 미국에선 한식(27.0%), 튀르키예에선 한국 드라마(29.6%)가 가장 주목받았다.


한국 영화와 드라마 또한 여러 국가에서 고루 관심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영화 ‘파묘’, ‘베테랑2’, ‘범죄도시4’, ‘콘크리트 유토피아’와 드라마 ‘오징어게임2’, ‘눈물의 여왕’, ‘선재 업고 튀어’ 등이 많이 언급됐다.


또 지난해 파리올림픽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운영된 ‘코리아하우스’가 한국의 문화를 해외에 알리는 복합 문화공간 역할을 톡톡히 수행한 것으로도 조사됐다.

외신과 SNS에서 BTS 멤버 진의 성화봉송과 ‘코리아 시즌 2024’ 개최, 응원봉 활용 단체 응원전 등이 높은 호응을 얻은 것으로 분석됐다.


채수희 문체부 해외홍보정책관은 “문체부의 해외 미디어 분석 역량을 집약해 이번 보고서를 만들었다”며 “국가별, 대륙별 맞춤형 한류 정책과 사업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분석 자료를 적기에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