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D, 알리바바, 텐센트, 샤오미 등
중국 전기차, 전자 상거래, SNS 주도
주가도 M7 대비 상대적으로 저렴
 |
샤오미 전기차 SU7. 신화 연합뉴스 |
미국 7대 기술주인 매그니피센트7(Magnificent7·M7)의 주가가 올해 거의 상승하지 못한 가운데, 중국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는 급등해 투자자들의 미국 예외주의에 대한 신념 흔들리고 있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올해 들어 중국의 전기차, 전자 상거래, SNS, 게임 분야를 주도하고 있는 BYD, 알리바바, 텐센트, 샤오미를 일컫는 BATX 주가는 평균 46% 급등했다.
특히 딥시크의 등장은 미국이 AI(인공지능)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엄격하게 규제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글로벌 기술 업그레이드에서 소외되지 않았다는 점을 보여줬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분석했다.
화웨이의 경우도 지난해 매출이 22% 증가해 2016년 이후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중국에서는 화웨이의 스마트폰이 애플을 제치고 1위를 달리고 있다.
전기차 분야에서도 샤오미와 BYD의 주가수익비율(PER)은 각각 45배와 23배로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테슬라의 경우 PER은 121배에 달한다.
샤오미는 고급차 시장에서도 앞서 나가고 있다.
지난해 3월 최초로 출시한 고급 전기차 SU7은 포르쉐 전기 스포츠카 타이칸 외형을 베꼈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출시 27분만에 5만대가 팔려 이른바 대박이 났으며, 지난해 총 13만5000대를 팔아 판매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올해 판매 목표는 30만대로 두배가 넘는다.
CPCA(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에 따르면 SU7은 지난해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총 16만2384대가 팔려 같은 기간 테슬라 ‘모델 3’의 15만2748대를 넘어섰다.
지난 18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 등 중국 주요 민영기업가들과 만나 민영기업 지원과 과학기술산업 지원 의지를 밝힌 것도 BATX 주가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미국 시장은 비싸고 왜곡돼 있다고 투자자들은 보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메릴린치의 최신 펀드 매니저 설문조사에 따르면 무려 89%가 미국 주식이 고평가 됐다고 답했다.
이는 2001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소수의 기술주가 S&P 500 지수의 거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것도 문제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