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마트의 쌀 판매대. 연합뉴스
전세계가 인플레이션으로 고통받고 있는 가운데 일본이 쌀 부족 미스터리에 휩싸이고 있다.


24일 외신에 따르면 일본의 쌀 값 상승이 가파른 가운데 정부가 ‘쌀 부족 현상’에 대한 명확한 원인 분석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일본 쌀수확량은 679만 톤(t)으로 1년 전에 비해 18t이 늘었다.


그러나 농협 등 집하업체가 매수한 쌀의 양은 215만t으로 21만t이 줄어 쌀 수확이 늘었는데도 유통량은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했다.

쌀 유통량이 줄면서 가격이 점점 오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의 유통업자가 쌀을 대규모로 매입해 시장을 혼탁하게 하고 있다는 일부 상인들의 증언이 나왔지만 실제 조사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같은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비축미를 풀어 쌀 값을 진정시키려고 하지만 문제는 자국 국민들의 입맛이 매우 까다롭다는 점이다.


정부가 비축미 유통에 나서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가격 하락 효과를 10% 정도로 예상한다.

이마저도 낮은 품질 때문에 쌀 값 안정화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본다.


쌀 수입도 쉽지 않다.


일본에서 미국산 등 외국산이 5kg 기준 2500∼3000엔대에 팔리는데 소비량이 많지 않다.

일본 정부가 자국산 쌀을 이보다 싸게 내놓을 수 없기 때문에 비축미를 풀어도 가격 안정에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본 농림수산성은 지난해 9월 쌀 수확 직전 재고 부족 시기에 태풍이나 난카이 대지진 경보에 따른 쌀 사재기가 우연히 겹쳐 일시적 상황이란 설명이다.


또 전국 햅쌀 생산량이 많기 때문에 이 품귀 현상이 곧 해소될 것이라고 낙관하고 있다.

하지만 쌀 부족 문제는 수개월간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일본 서민층을 압박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이 지속되자 정부의 쌀 생산량 집계의 정확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표본 조사를 통해 전국 생산량을 추산하는 현재 방식에 오차가 많다는 것이다.


지난해 니가타·이시카와·야마가타·후쿠시마 등에서 폭우와 이상기온 등으로 벼 피해가 많았던 상황을 정부가 정확히 집계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온다.

쌀 유통 구조의 변화를 일본 정부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과거에는 생산자들이 대부분 쌀을 농협을 통해 거래했지만 최근 온라인 등으로 쌀 소비자와 생산자의 직거래가 대폭 늘어난 걸 정부가 파악하지 못한다는 점이 쌀 부족 원인의 하나로 꼽힌다.


쌀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일부 마트에서는 1인당 구매 한도를 제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