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녀와 데이토나 경주장 찾은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16일(현지시간) 손녀 캐롤리나 트럼프와 함께 플로리다주 데이토나 비치에서 열린 자동차 경주대회인 '데이토나 500' 경주장에 들어서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쟁 당사국인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도 종전을 위한 대화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팜비치 국제공항에서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종전을 위한 대화에 젤렌스키 대통령도 관여하냐는 질문에 "그도 관여할(be involved) 것"이라고 답변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가 언제 어떻게 협상에 참여할지에 대해 설명하지 않아 미국이 우크라이나를 '패싱'할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을 옹호하는 발언을 이어갔다.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체를 점령하려고 한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아니다.

그는 (전쟁을) 끝내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울러 젤렌스키 대통령이 경고한 러시아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 침공 가능성을 우려하냐는 질문에는 "조금도 그렇지 않다"고 밝혔다.


같은 날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CBS 인터뷰에서 "'진짜 협상'이 시작되면 우크라이나는 침략당했기 때문에 (종전 협상에) 참여해야 할 것이고, 유럽인들은 푸틴과 러시아에 제재를 가하고 있어 참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장 18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릴 미국과 러시아 간 고위급 회담에 초청되지 못한 우크라이나는 중동지역을 찾아 미·러 중심의 현 구도를 타파하기 위한 외교전에 나섰다.

16일부터 아랍에미리트(UAE)와 사우디 등 중동 순방에 나선 젤렌스키 대통령은 해당 지역에서 러시아나 미국 대표단을 만날 계획이 없다고 키이우인디펜던트가 전했다.


이날 UAE 공항에서 관리들과 회담을 하는 영상을 게시한 젤렌스키 대통령은 텔레그램을 통해 "우선순위는 더 많은 포로를 귀환시키는 것"이라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UAE 방문을 시작으로 사우디와 튀르키예를 잇달아 찾는다.




17일 세르히 니키포로우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대변인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19일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한다"고 확인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사우디에서 진행되는 이번 고위급 회담이 예비적인 성격을 띠지만 적어도 현재로서는 러시아와만 협상을 진행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도를 보여주는 듯하다고 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17일 UAE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크라이나가 없는 협상은 결과가 없는 협상으로 간주한다"며 "우리가 없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어떠한 합의도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앞마당에서 발생하는 전쟁의 종전 협상에서조차 배제될 처지에 놓인 유럽은 황급히 움직이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17일 파리에서 영국과 독일, 이탈리아, 폴란드, 스페인, 네덜란드, 덴마크 정상과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안토니우 코스타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을 초청해 긴급회의를 열었다.

유럽 지도자들은 이번 회담에서 미국이 유럽과 우크라이나를 배제한 협상을 진행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뜻을 모았다.


유럽은 또 우크라이나 안보를 위해 평화유지군 창설에도 속도를 낼 분위기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일간 텔레그래프에 보낸 기고문을 통해 "유럽은 자체적인 안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 큰 노력을 해야 한다"면서 평화유지군 창설 의지를 강하게 내비쳤다.

당초 유럽 주도의 평화유지군 구상은 마크롱 대통령이 먼저 제안했다.

침묵을 지켜왔던 스타머 총리가 이 주장에 동조하면서 유럽 주도의 평화유지군 신설이 현실화할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와 유럽의 반발에도 트럼프 행정부는 종전 협상을 이른 시일 내 마무리할 태세다.

트럼프 행정부가 유럽 관리들에게 부활절인 오는 4월 20일까지 종전이 이뤄지길 바란다는 뜻을 전했다고 블룸버그가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다만 익명의 소식통은 전쟁을 빠르게 끝내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이 "야심 차지만 잠재적으로 비현실적"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의 시작 단계에서 개최된 뮌헨안보회의는 대서양 동맹의 분열만 보여줬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덕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