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압박에 굴하지 않겠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2기 행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연준의 정치적 독립성을 천명했다.

특히 인플레이션이 좀처럼 잡히지 않는 상황에서 트럼프가 원하는 기준금리 인하는 당분간 어려울 것임을 시사했다.


파월 의장은 29일(현지시간) FOMC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즉각 기준금리를 인하하라고 요구한 것에 대해 의견을 묻자 "대통령 발언과 관련해 코멘트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면서도 "대중은 연준을 크게 신뢰한다.

우리는 묵묵히 본연의 임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그래야 대중에게 이익이 돌아간다"고 덧붙였다.


파월 의장은 "우리는 몇 년 동안 항상 그렇게 (독립적으로) 행동했다"면서 "여러 연구를 보면 이것이(독립성) 중앙은행을 운영하는 최고의 방법임을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파월 의장은 트럼프발 불확실성이 확대됐음을 인정하고 이에 따라 통화정책을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현시점에서 불확실성이 고조됐다"면서 "이민·재정·규제·관세에 상당한 정책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이런 정책들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내용이 뚜렷하게 제시되길 기다려야 할 것"이라며 "따라서 우리는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지난 몇 번의 행정부 때와 마찬가지로 행정명령과 연준 통화정책이 일치되도록 조정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파월 의장이 연준의 독립성을 강조한 배경에는 트럼프가 통화정책에 개입하는 걸 공개적으로 반대해 앞으로도 아랑곳하지 않고 나 홀로 길을 가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 인하는 당분간 없을 것이라고 시사했다.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를 낮추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 데이터가 한두 번 좋게 나와야 되는 게 아니다"며 "지속적으로 좋은 인플레이션 데이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일러야 3개월 이후에나 기준금리 인하를 검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이번 FOMC 결과에 대해 "향후 3개월간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표가 연준 정책에 중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때문에 3월 기준금리 인하는 완전히 물 건너갔고 5월에 내릴 가능성도 낮다는 게 시장 반응이다.

CME그룹 페드워치에 따르면 올해 기준금리는 6월에 처음으로 인하되고 이어 12월에 낮추는 게 가장 유력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연준이 지난달 점도표에서 올해 두 차례 스몰컷(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을 전망한 것과 일치한다.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 완화 사이클이 종료된 것은 아님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에서 추가 진전이 있으면 좋겠다.

(금리 인하를 위해) 인플레이션이 2%까지 낮아지는 걸 기다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 발언 이후 곧바로 연준에 대한 비판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본인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에 "파월 의장과 연준은 자신들이 인플레이션으로 만든 문제를 멈추게 하는 데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나는 인플레이션을 멈추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일을 할 것이다.

재정적 측면 등에서 미국을 다시 강력하게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욕 윤원섭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