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정부 출범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중(對中) 압박에 속도 조절을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중국산 제품에 6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해온 것과 달리 취임 첫날 대중 관세를 언급하지 않았고 둘째날에도 10%의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한 게 전부기 때문이다.
또 중국계 동영상 소셜미디어인 틱톡을 구제하겠다며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유예했다.
2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펜타닐을 멕시코와 캐나다에 보낸다는 사실에 근거해 이러한 방안을 고려 중"이라며 10% 관세 방침을 밝혔다.
이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지난 17일 전화 통화에서 관세 부과에 대해 나눈 대화를 묻는 질문에는 "시 주석은 (관세에 대한) 내 입장을 잘 알고 있다"며 "(관세에 관해) 별로 얘기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당선인 시절 발언대로 전날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곧바로 멕시코와 캐나다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중국에 대해선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후 기자회견에서 질문이 나오자 그제야 10% 관세 부과 방안을 거론한 것이다.
주목되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 금지법 시행을 유예하며 틱톡의 미국 사업권 지분 50%를 미국 기업이 갖는 합작 투자를 대안으로 제시한 점이다.
틱톡 지분 매각을 매개로 중국과 협상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