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시 경쟁력 17위…박정숙 WeGO 사무총장 "도시 단위 제도 마련돼야"

【 앵커멘트 】
서울이 주요 글로벌 도시 경쟁력 부문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내년에는 우수 인력과 도시 재원들이 서울로 모일 수 있는 토대도 마련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서울이 한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도시 단위 중심의 제도가 마련돼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유진 기자입니다.


【 기자 】
주요 글로벌 도시 142개 가운데 17위에 이름을 올린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

CCTV 구축에 따른 안전성, 무료 공용 와이파이, 대기오염 모니터링 등이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반면, 시급한 사안으로는 비싼 주택, 대기오염, 실업률, 도로 정체, 부패 등이 꼽혔습니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 IMD와 세계스마트시티기구, 위고가 올해 142개 도시를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5개 분야, 39개 지표를 평가한 '스마트시티 인덱스'의 결과입니다.

1위는 스위스 취리히, 2위는 노르웨이 오슬로, 3위는 호주 캔버라가 각각 차지했습니다.

그동안 조사 대상 도시의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를 거쳐야 했지만,

이제는 해당 도시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돼 정확도가 높아지고, 정교한 평가가 가능해졌습니다.

▶ 인터뷰 : 박정숙 / 세계스마트시티기구(WeGO) 사무총장
- "오픈 데이터가 얼마나 사용돼서 시민들에게 유용하게 전달되고, 이 데이터를 통해 적확한 공중 서비스가 전달되고 있는가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거든요."

위고는 내년부터 글로벌 '스마트시티 인증제도'도 개발해 선보인다는 계획입니다.

스마트시티 인증을 받기 위해 자연스레 글로벌 도시 재원과 인력이 서울로 몰릴 것이라는 구상입니다.

▶ 인터뷰 : 박정숙 / 세계스마트시티기구(WeGO) 사무총장
- "한국에 와서 인증을 받고 갈 수 있는 플랫폼을 빨리 만들어야 합니다. 많은 기술력을 가진 기업들이 한국에 와서 인증을 받으려고 할 거예요."

하지만 스마트시티와 연관된 제도는 여전히 발전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스위스 제네바 등과 달리 우리는 나라 중심의 국제기구만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가 주도적으로 인증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 인터뷰 : 박정숙 / 세계스마트시티기구(WeGO) 사무총장
- "이제는 국제기구법, 국제도시법, 데이터 법이라든지 스마트시티 시대에 맞는 법들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생각하고요."

2026년 글로벌 스마트시티 인프라 시장이 1천40조 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급성장하는 시장에 발맞춰 관련 법과 제도를 재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이유진입니다. [ ses@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