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미국 국채금리의 국내 파급 영향 확대’ 보고서
한미 금융연계성 커져 미국 국채금리에 민감하게 반응

주요국과 미국간 국채금리 동조성, 미국 국채금리가 국가별 국채금리에 미치는 영향력<자료=한국은행>
최근 글로벌 통화 긴축 기간에 우리나라 장기 국채 금리가 미국의 국채 금리를 따라 움직이는 동조화 현상이 더 심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임박한 통화정책 전환(피벗) 과정에서 미국 국채 금리 영향으로 한국 금리의 변동성도 커질 것이라는 전망도 제시됐다.


1알 한국은행이 발표한 ‘최근 글로벌 통화 긴축기 미국 국채금리의 국내 파급 영향 확대’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변동의 상관계수는 2013∼2021년 0.61에서 2022∼2024년 0.94로 커졌다.

2022년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를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글로벌 긴축 통화정책이 시작된 이후 미국과 한국 장기 국채 금리의 동조화가 더 선명해졌다는 뜻이다.

주요국 가운데 상관관계 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나라의 경우 뉴질랜드(0.91), 캐나다(0.88), 싱가포르(0.88), 독일(0.87), 일본(0.53) 등이었다.


미국 국채금리가 국가별 국채금리에 미치는 영향력도 한국이 2022~2024년 58%로 2013~2021년 45%보다 13%포인트 올라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게 올랐다.

다만, 주요국 가운데 호주가 2022~2024년 70%로 가장 많이 영향을 받았다.


한은은 미국 국채 금리의 국내 파급력이 커진 이유로 양국 금융의 연계성 강화를 언급했다.

2019년 이후 두 나라의 상대국에 대한 주식·채권 투자나 직접 투자가 경제 규모(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늘고, 국내 채권 시장 내 외국인 투자 비중도 급증하면서 그만큼 미국 국채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했다는 설명이다.

지난 2022년 세계적으로 고물가 등의 거시 경제 충격이 동시에 나타나 주요국의 물가 여건과 이에 대응한 통화정책, 정책금리가 한 방향으로 움직인 점도 금리 동조화를 부추긴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됐다.


아울러 2020∼2022년 코로나19 사태 등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두 나라 금리의 동조성을 목격한 국내 채권 투자자들이 2022년 이후 더 동조화에 대한 ‘경직적 기대’ 속에 미국 금리를 추종하는 현상도 언급됐다.

이 밖에 국채 선물시장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 영향력 확대, 미국 달러화 강세 영향도 상당했다.


구병수 한은 채권시장팀 과장은 “미국 국채 금리의 파급 영향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이라며 “한국과 미국의 통화정책 전환 과정에서 미국 국채 금리의 영향으로 국내 장기 국고채 금리가 큰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