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600억원대 횡령 사고] 금감원, 우리은행 횡령기간 11회 검사에도 적발 못해

【 앵커멘트 】
우리은행이 600억 원대 횡령 사건을 10년간 알지 못하면서 은행의 내부통제시스템에 대한 문제점이 드러났습니다.
은행 뿐만 아니라 금융감독 시스템에도 헛점이 확인된 건데요.
금융감독원은 횡령 기간 동안 우리은행을 11번이나 검사했지만 적발하지 못했습니다.
김용갑 기자입니다.


【 기자 】
우리은행의 지난 28일 공시입니다.

614억 원에 달하는 횡령이 발생했다고 알리고 있습니다.

지난 2012년 10월과 2015년 9월, 2018년 6월에 걸쳐 총 6년간 횡령이 벌어졌습니다.

첫 횡령이 2012년에 발생한 점을 고려하면 우리은행은 약 10년 만에 횡령 사실을 인지했습니다.

A씨가 횡령한 돈의 대부분은 옛 대우일렉트로닉스 매각에 참여했던 이란 가전업체에 우리은행이 돌려줘야 하는 계약 보증금입니다.

A씨를 해당 부서에 10년 넘게 근무하게 하는 등 은행 차원의 문제점도 제기되는 상황.

우리은행은 올해까지 4년 연속 횡령 사고가 발생한 바 있습니다.

이같은 횡령 사고의 반복에 금융당국 책임론도 불거지고 있습니다.

특히 금감원은 이번 횡령이 발생한 지난 2012년부터 2018년 동안 우리은행을 총 11차례 검사했습니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는 우리은행에 대한 현장 종합검사를 했지만 횡령을 발견하지 못 했습니다.

이에 우리은행의 허술했던 내부통제 시스템과 금감원의 부실한 감독 모두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김상봉 /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 "내부통제가 안되고 있는 상황인데, 재무제표하고 당일 은행 계좌를 확인해줘야해요. 시스템이 갖춰져 있으면 시스템 상으로 통장 내역을 사본을 올리면 되거든요. 금방확인할 수 있는건데 그런 간단한 시스템도 없었다는 거고요. 금융감독원도 개선할 점이 있죠. 검사를 했는데도 사고가 발생한거니까요."

한편, 경찰은 오늘 우리은행 본점을 압수수색하며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우리은행도 사태 수습에 나섰습니다.

이원덕 우리은행장은 직원들에게 "한 사람의 악한 마음과 이기적인 범죄로 모두가 땀 흘려 쌓아 올린 신뢰가 흔들리고 말았다"며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습니다.

잊을 만하면 반복되는 은행권의 횡령 등 도덕적 해이를 막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매일경제TV 김용갑입니다. [ gap@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