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다음 한 해의 소비 트렌드를 예측해 온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가 2022년의 소비 트렌드 키워드로 '나노 사회'를 제시했습니다.

'나노 사회'는 공동체가 개인으로, 개인은 더 미세한 존재로 분해해 서로 이름조차 모르는 고립된 섬이 되어간다는 의미입니다.

김 교수는 6일 내년 소비 트렌드 전망을 담은 '트렌드 코리아 2022'(미래의창) 출간 기념 온라인 기자 간담회에서 "나노 사회가 된다는 건 우리 사회가 하나의 공동체적인 유대를 이루지 못하고 개개인, 나노 단위로 조각난다는 의미"라며 "이는 다른 모든 트렌드의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 알고리즘, 기술만능주의로 인해서 개인은 더욱 고립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하면서 이 같은 나노 사회로의 변화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기술 만능주의에서 벗어나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 밖에 김 교수가 꼽은 10대 소비 트렌드는 '머니 러시' '득템력' '러스틱 라이프' '헬시플레저' '엑스틴 이즈 백' '바른생활 루틴이' '실재감테크' '라이크커머스' '내러티브 자본' 등입니다.

이 중 김 교수는 '엑스틴 이즈 백'에 주목했습니다.

X세대는 주로 1970년대 이후에 태어나 아날로그와 디지털시대를 모두 경험한 세대로, 사회에서 중간 관리자 역할을 맡은 40대들이 주축입니다.


기성세대보다 풍요로운 10대를 보낸 40대는 개인주의적 성향을 가지며 자신의 10대 자녀와 라이프스타일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엑스틴'(X-teen)이라 부를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X세대는 세대 담론의 출발점이었으며 소비나 인구 규모적인 측면에서도 가장 큰 세대라며 내년은 MZ세대에 견줘 상대적으로 등한시됐던 X세대가 부각되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아울러 단계적 일상 회복을 의미하는 '위드(with) 코로나' 시대가 도래하면 산업적 측면에서 수혜산업과 피해산업의 명암이 엇갈릴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특히 동일 산업 내에서 승자독식이 강해지고, 한계 기업을 인수한 플랫폼 기업은 영역을 확대하며 내년에 더욱 강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와 함께 기업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잘 헤쳐나가려면 대면·비대면의 이분법적인 사고에 매몰되기보다는 트렌드 대응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교수는 "대면 산업에서도 변화하는 것에 잘 맞춘 기업은 살아남고, 같은 비대면 사업을 하더라도 고객의 니즈에 부응하지 못하면 쇠퇴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유나겸 인턴기자 / optimusyu@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