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편의점들이 먹고 살려면 적당히 거리가 떨어져 있어야 장사가 될 텐데요.
그래서 정부와 업계가 근접출점을 막으려 애쓰고 있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이 같은 약속이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어떤 사연이 있는지 정영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경기도 평택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A씨.

최근 A씨는 걱정이 늘었습니다.

임대료 상승과 최저임금 인상 여파로 올해 들어 수익은 줄었는데, 길 건너편에 편의점이 새롭게 들어선 것.

그런데, 정작 미니스톱은 A씨가 올해 초 자신의 매장을 인수하겠느냐고 타진했을 때 매출이 적다며 거절한 바 있습니다.

▶ 인터뷰 : A씨
- "간판 바꿔서 인수하실 생각 있느냐, 그랬더니 매출도 저조하고, 폐업하기엔 위약금이 많이 나와서 못 가져갑니다 라고 공통적으로 얘기했어요."

매출이 저조한 상권인 것을 알면서도 매장을 내준 겁니다.

▶ 스탠딩 : 정영석 / 기자
- "이 편의점에서 개점을 앞둔 편의점까지 거리는 불과 60m에 지나지 않습니다. 정부와 업계가 편의점 근접출점 제한을 논의하고 있지만, 현장의 분위기는 다릅니다."

더욱이 최근 가맹본사들을 대표하는 편의점산업협회가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출한 근접출점 자율협약 수정안엔 '80m 이내 출점 제한'은 빠졌습니다.

그러는 사이 현장에선 편의점들의 근접출점이 버젓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성인제 / 전국편의점가맹점주협회 공동대표
- "현재도 근접 출점은 경쟁적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계약되고 간판 달 때쯤 알게 돼요. 그러면 계약이 이뤄졌기 때문에 개인재산 관련 문제가 있어서 난감한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

어려운 경영 환경에 가맹본사들의 무리한 출점 경쟁으로 편의점 점주들은 신음하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정영석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