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정상회담 D-2
한국경제 ‘새 길’ 열리나?
·역대 남북정상회담 현황
2000년 2007년 2018년
일자 6월13일~15일 10월2일~4일 4월27일
남북정상 김대중-김정일 노무현-김정일 문재인-김정은
장소 북한 평양 북한 평양 판문점 평화의 집
백화원 영빈관 백화원 영빈관
Q. 남한에서 열리는 첫 정상회담, 감회는?
Q. 북한이 협상장으로 나온 가장 큰 배경은?
A. 경제적 어려움으로 민간 통제력 약화 우려
A. 중국의 태도변화도 큰 동력
Q. 비핵화 관련 어떤 회담 결과 나올까?
A. 핵심의제, ‘비핵화·평화정착·남북관계 발전’
A. 비무장지대 내 긴장완화와 군사적 신뢰구축
A. 평화체제 전환 등 큰 틀 논의 이뤄질 것
A. 임종석 “남북정상회담 정례화 주요 의제”
Q. ‘경협 논의’ 어디까지 이뤄질까?
A. 통일부 “경협, 남북관계 진전 있어야 가능”
·남북 경협 역사
1988년 7월 남북교역 개방
1998년 11월 금강산 관광 시작
2004년 12월 개성공단 가동
2008년 11월 금강산 및 개성 관광 중단
2016년 2월 개성공단 폐쇄
2018년 4월 2018 남북정상회담 개최
Q. 가장 먼저 진전될 경협 분야는?
A. 경협 재개가 부상할 수밖에 없을 것
A. ‘단계적 경협 재개론’ 부상
Q. 정부의 ‘한반도 신경제지도’에 대한 평가는?
A. ‘한반도 신경제지도’ 본격 추진 가능성
A. 대선공약집서 ‘H 경제벨트’ 조성 언급
Q. 남북경협 꾸준히 이어갈 방안은?
A. 남북경협 재개, 국제사회지지 얻어야
A. 남북경협 최대 변수는 ‘북·미 관계’
Q. 이번 남북정상회담, 한국경제 영향은?
A.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 크게 해소
A. 국가 및 국내기업의 신인도 향상
A. 금융·외환시장 안정 등의 효과 기대
Q. 현명한 남북경협 방향에 대한 제언?
정동영 민주평화당 의원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