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최근 게임업계는 세계보건기구(WHO)에 골머리를 앓았습니다.
오는 5월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등재하겠다는 예고 때문인데요,
이 방안이 1년 유예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한숨 돌리는 모양새입니다.
박상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지난해부터 국내 게임업계에 드리웠던 먹구름이 잠시 걷혔습니다.

다음 달 스위스 총회에서 상정할 예정이었던 국제질병분류 11차 개정판에 게임중독을 질병코드로 등재하겠다던 WHO가 이를 1년 유예한다고 밝혔기 때문.

WHO는 이번 총회를 거쳐 올해 안에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최종 등재할 계획이었습니다.

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게임 수출액은 약 37억7천만 달러 우리 돈 4조400억 원으로, 5억 달러 수준인 K팝보다 7배 이상 많았습니다.

해외 수출 감소와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 등을 우려했던 업계는 가슴을 쓸어내립니다.

▶ 인터뷰(☎) : 게임업계 관계자
- "아직 최종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유예를)긍정적인 상황으로 보고 있고, 이번 일을 계기로 게임에 대한 부정적 시각보다 산업이나 게임 가치에 대한 긍정적 시각으로 전환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번 유예는 게임중독을 결정할 만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

실제로 옥스퍼드대와 존스홉킨스대, 스톡홀름대, 시드니대 등 해외 유명 대학의 연구진들은 게임중독의 증상이나 기준, 치료방법 등이 마련되지 않았다며, WHO의 등재 예고에 반대의 뜻을 나타낸 바 있습니다.

우리 통계청도 WHO의 질병분류 11차 개정판이 발생시킬 문제를 검토해야 한다며, 2020년 제정할 한국질병분류코드(KCD)는 기존의 10차 버전을 기준으로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인터뷰(☎) : 이승훈 / 영산대 문화콘텐츠학부 교수
- "객관적인 근거나 자료로 (게임중독을)주장해야 하는데, 몇몇 개인들을 중심으로 질병 등재하는 게 과연 맞는지… 남아있는 기간 동안 게임의 긍정적인 부분들, WHO의 얘기가 설득력이 떨어지고 말이 안 된다는 것을 증빙할 자료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질병코드 등재를 막기 위한 전 세계 게임회사들의 총력전이 이제 시작됐습니다.

매일경제TV 박상훈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