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오는 2019년부터 종이증권이 사라지고, 전자증권이 도입됩니다.
증권을 효율적으로 발행하고 유통한다는 점에서 자본시장의 핵심적인 인프라로 꼽히고 있습니다.
이나연 기자입니다.
【 기자 】
한국예탁결제원이 처리하고 있는 증권거래 관련 대금은 하루 평균 121조 원, 지난 한 해만 3경 원을 기록했습니다.
500만 명의 투자자들은 3천900조 원 규모의 증권울 예탁결제원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IT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다수 OECD 국가들은 이미 전자증권제도를 도입해 투자자들의 재산과 정보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전자증권 도입에 대한 논의는 20년 전부터 이뤄져왔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3월이 돼서야 전자증권법이 공포되면서 비로소 준비에 들어간 상황입니다.
▶ 인터뷰 : 이병래 /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 "내년까지 전자증권시스템 구축을 마치고, 이후 약 8개월간 집중적으로 시스템 안정성 점검과 테스트를 실시할 계획입니다…."
자본시장업계에서는 전자증권이 도입된 이후 5년 간 경제적 가치가 4조6천376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 인터뷰 : 박정훈 /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국장
- "전자증권제도는 우리 자본시장의 미래 발전을 모습을 가늠해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척도가 될 것입니다."
하지만 제도가 시행돼도 추가적인 과제는 남습니다.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새로운 기술이 예탁결제원 등 전자등록기관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는 미지수이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황세운 /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
- "블록체인 기술 도입이 확대됨에 따라 중앙등록기관의 역할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향후 전자증권제도를 확대 시행함에 있어서 중앙등록기관의 역할 변화 가능성도 고려하면서 제도 도입의 방향성을 설정할 필요가 있죠."
또 전자등록제도를 상법상 주주총회나 자본시장법상 공시제도 등에 반영시킬지 여부, 실물증권을 계속 소지하는 상황에 대한 권리 행사 여부 등도 꼼꼼히 짚어야 할 과제로 지적됩니다.
매일경제TV 이나연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