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번 금리 동결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소는?
A. 한은, 기준금리 연 1.25% 동결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 (단위:%)
2011년 6월 10일 3.25
2013년 5월 9일 2.50
2016년 6월 9일 1.25
2017년 8월 31일 1.25
A. 국내 신정부 정책 실행 후 영향 확인
A. 북한 관련 지정학적 위험도 점검
A. 낮은 물가로 인한 글로벌 통화정책 기조 점검
Q. 연내 금리인상에 대한 ‘강한 시그널’ 나올까?
·경제성장률 (%, 전기대비)
2016년 1분기 0.5
2분기 0.9
3분기 0.5
4분기 0.5
2017년 1분기 1.1
2분기 0.6
(자료:한국은행·통계청)
A. 국내 통화정책 정상화 아직 시기상조
A. 낮은 수요 발 물가압력 개선이 필요
Q. 지난달까지는 연내 금리인상 분위기…반전 이유는?
A. 대외 통화정책 분위기 반전
A. 내수 경기회복 여력 확보
Q. 미국 금리 연내 추가인상 할까?
A. 이번 주말 임금상승 여부가 중요
A. 9월 연준 자산축소·12월 금리인상 전망 유지
Q. 청와대의 금리관련 발언, 적절했나?
·김현철 청와대 경제보좌관
“기준금리가 1.25%인 상황은 문제가 있다.”
- 8월 초 언론인터뷰 중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발언은 신중했어야 한다.”
- 28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 중
A. 부동산 관련 대책의 일환으로 제시
A. 한은의 독립성 고려, 정책조화 유지할 전망
Q. 국내 기준금리 추후 전망은?
하단) 연내 인상 어려울 전망
하단) 2018년 상반기 중 금리인상 실시 유력
미래에셋대우 윤여삼 연구원by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