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유통 업종, 1분기 실적 전망은?
A. 1분기 내수 침체로 중국 사드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최근 발의된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은 22개이며 발의안 주요 내용은 의무 휴업 확대와 출점 제한으로 발의되었다. 유통 관련 규제는 유통업 질적 변화의 가속화와 대선 주자 공약인 내수 경기부양 정책에 초점을 두었다.

Q. 유통 업종, 주요 기업 수급 흐름은?
A. 기업 외국인 기관 연기금
롯데쇼핑: +1990억 +1443억, 734억
이마트: +1059억 -683억, +309억
BGF리테일: +854억, +217억, +251억
GS리테일: -109억, +610억, +159억
현대백화점: -997억, +250억, +29억
신세계: -534억, +901억, +275억
GS홈쇼핑: +204억, -34억, +12억
CJ오쇼핑: +88억, +234억, +160억

Q. 유통 업종, 주요 기업 1분기 예상 실적은?
A. 기업 매출 영업이익
롯데쇼핑: 7조 3663억(+yoy 2.61%), 2227억(+yoy 7.01%)
이마트: 3조 8403억(+yoy 5.79%), 1810억(+yoy 16.02%)
BGF리테일: 1조 2503억(+yoy 14.46%), 357억(+yoy 28.88%)
GS리테일: 1조 8685억(+yoy 13.91%), 318억(+yoy 20%)
현대백화점: 4771억(+yoy 4.03%), 1044억(+yoy 1.95%)
신세계: 9316억(+yoy 44.81%), 627억(+yoy 0.96%)
GS홈쇼핑: 2912억(+yoy 3.33%), 318억(+yoy 0.63%)
CJ오쇼핑: 5709억(+yoy 4.94%), 592억(+yoy 0.16%)

Q. 유통 업종 내 눈여겨볼 종목은?
A. 굿 종목은 이마트(139480)와 신세계(004170)이다. 이마트(139480)는 초저가 PB 노브랜드와 프리미엄 PB 피코크가 있으며 온라인몰 전용 물류센터 확장으로 잠재성장력이 높다. '이마트타운' 3세대인 대형마트 성장력을 가지고 있으며 규제 강화 국면에도 차별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신세계(004170)는 사드 반발로 인한 중국 관광객 감소로 신세계 면세점 우려가 제한적이다. 고급화 전략으로 '싼커' 중심 고객 확보 가능성에 주목하여야 하며 동대구점을 신규 출점 할 예정이며 백화점 매출 성장률이 1월 27.1%, 2월 20.2%로 나타났다.

Q. '유통 업종', 2분기 투자 전략은?
A. 외부 악재로 조정받은 유통주에 주목하여야 하며 자체 PB전략이 우수한 기업에 관심을 가져야한다. 또한, 1인 가구 증가 수혜 종목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김현겸 동부증권 서초지점 팀장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