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빠른 성장세 보이는 ODM 화장품 업종, 최근 이슈는?
A. 화장품 제조 업자 개발 생산(ODM)의 관련주 성장세가 탄탄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사드 문제로 촉발된 한국산 화장품 규제로 화장품 브랜드 시장이 위축되었고, 중국 현지를 공략한 ODM 업체의 실적 안정성과 ODM 업체가 브랜드 업체보다 해외 시장 빠르게 침투하고 있다.
Q. ODM 화장품 업종, 최근 수급 흐름은?
A. ODM 화장품 업종 최근 수급
기업 외국인 기관
코
스맥스 +274억 +159억
한국콜마 -18억 +83억
코스메카코리아 +42억 +10억
코스온 -4억 -16억
Q. ODM 화장품 업종, 주요 기업 실적은?
A. ODM 화장품 업종 주요 기업 실적
기업 매출 영업이익
코
스맥스 7569억(+YOY 41.9%) 526억(+YOY 46.4%)
한국콜마 6674억(+YOY 24.6%) 734억(+YOY 21.0%)
코스메카코리아 예상 6700억(+YOY 24.5%) 580억(+YOY 31.8%)
코스온 예상 826억(+YOY 33.4%) 94억(+YOY 36.2%)
Q. ODM 화장품 업종, SWOT 요인별 분석은?
A. 강점-가격 경쟁력 우수 / 중국발 리스크 민감도 낮아
A. 약점-대기업 물량 증가로 인한 마진 압박
A. 기회-내수 주문 확대 / 글로벌 기업으로 업 확대
A. 위협-중국 ODM 회사 기술 빠르게 성장
Q. ODM 화장품 업종 내 눈여겨볼 종목은?
A. 굿 종목은
한국콜마(161890)이다. 4분기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발표하였고, 유럽 대형 바이어 추가로 해외 수출이 증가하였다. 또, 북경콜마 CAPA 증설 이후 가동률이 상승하였으며, 작년 인수한 미국법인의 연결 실적으로 반영될 예정이다. 배드 종목은
코스온(069110)이다. 최근 두 차례나 전환사채 발행(200억)이 되었다. 화장품 ODM 후발주자로 경쟁이 심화될 것이다.
Q. 화장품 업종, 투자전략은?
A. 사드 영향을 받아 ODM 업체로 투자자 관심이 증가할 것이며, 실적 둔화된 브랜드 화장품은 중장기 관점 분할 매수를 하는것을 제시한다.
김현겸
동부증권 서초지점 팀장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