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뉴욕증시 또 최고가…트럼프 랠리 다시 가동?
A. 미 증시, 지난해 3분기부터 기업실적 증가세
A. 도드-프랭크법 개정 가능성, 세금발표 기대감 반영

Q. 트럼프, 예산안 제출 지연…증시 변동성 확대로?
A. 트럼프 예산안 제출, 이번주 중 발표될 것으로 예상
A. 예상보다 ‘낮은’ 재정 확대 가능성 제기
A. 예산안에 대한 기대감 약화 가능성..증시 보합 예상

Q. 미 증시 ‘금융주’ 다시 약세, 등락 심화될까?
A. 미 금융주 강세는 앞으로 좀 더 지속될 전망
A. 예대마진 개선, 밸류에이션 매력이 금융주 견인할 것

Q. 환율 언급 없었던 미-일 정상회담, 확인한 점은?
A. 미-일 정상회담, 경제 분야에 대한 언급 없어
A. 일본이 원하는 TPP 통과 가능성은 여전히 낮아
A. 여타 대미 무역흑자국 대비 차별적 규제 가능성

Q. 트럼프발 환율전쟁, ‘4월 위기설’ 현실화 가능성은?
A. 국내 증시 ‘4월 위기’ 가능성 낮다고 판단
A.한국에 대한 환율조작국 지정 가능성 낮아

Q. 이번 주 옐런 ‘반기 통화정책보고’, 금리 시그널 줄까?
A. 옐런 의장의 ‘3차례 금리인상’입장 변화 여부 주목
A. 새 정부의 세제개편안, 재정부양책에 대한 평가에 집중
A. 3월 금리인상 가능성, 시장 예측 13% 수준
A. 견조한 고용·물가 감안 시, 3월 인상확률 50% 이상 전망

Q. 변동성 커지는 달러화, 방향성은?
A. 달러화, 강세 요인이 더 우위 보일 것
A. 인프라 투자 확대·고금리 기조…강세 요인 작용
A. 국내 증시는 펀더멘털 견조…역외자금 유입 지속될 것

Q. ‘IT 매도’ 중심의 외국인 수급 약화…심화될까?
A. IT 수출 실적 우수, 실적모멘텀 견조한 상황
A. 외국인 수급, 중장기적으로 국내 수출모멘텀과 동조화
A. OLED장비·반도체·자동차 부품 등 실적 개선 뚜렷

Q. 이번 주 국내 증시, 변수와 전략은?

A.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 완화 국면으로 갈 것
A. 수출 업종에 대한 긍정적 시각 유지

· 품목별 수출 실적
* 2월 1일~2월 10일
- 석유제품 +137.7%
- 반도체 +79.4%
- 승용차 +91.6%
- 자동차부품(+37.3%)

김현조 한화투자증권 연구원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