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추가 자금지원 없이는 상장폐지 수순을 밟게 될 위기에 놓인
대우조선해양에 대해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자본확충 규모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구체적인 규모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시장 예상치보다 커질 것이 자명해지면서, 혈세 낭비 논란이 또 한 번 불거질 것으로 보입니다.
백가혜 기자입니다.
【 기자 】
산업은행이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대우조선해양에 대해 추가 자본확충을 통한 구조조정 의지를 밝혔습니다.
대우조선의 정상화를 위한 자본확충 방안을 놓고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막바지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큰 틀의 합의가 이뤄졌으며, 다음주 중 자본확충 규모와 계획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지난해 대우조선의 채권단인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총 4조2천억 원 규모의 자본확충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하지만 대우조선이 완전자본잠식 상태를 겪는데다 소낭골 드릴십 인도 지연 등으로 자금 위기가 심화되고 있어 정부와 채권단의 자본확충 규모는 더 확대될 예정입니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기자간담회를 열고 "대우조선에 대한 출자전환 규모는 아직 정확히 밝힐 수 없지만 시장에서 예상하는 규모보다 더 클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인터뷰 : 이동걸 / 산업은행 회장
- "산은 등 채권단은 조선업의 구조조정과 경쟁력 강화, 국가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산업은행의 출자전환 여력은 1조6천억 원 남아 있지만 이보다 더 큰 규모의 자본확충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
이 회장은 간담회 직후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자본확충 규모가 2조원 이상이 될 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수출입은행은 출자전환보다 영구채 발행을 통한 자본확충 방안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같은 채권단의 결정에는 대우조선의 인력감축 등 자구노력 이행을 통한 정상화 의지와, 대우조선이 도산시 국가경제에 미치는 손실이 57~60조 원 수준으로 예상되는 점 등이 배경으로 작용했다는 설명입니다.
한편 정부와 채권단의 이같은 결정은 이미 4조 원이 넘는 혈세가 투입된 데 이어 또 다시 국민의 혈세를 낭비한다는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산업은행 측은 대우조선을 살리겠다는 결정을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에 빗대며 "큰 용기를 필요로 하고 리스크도 크지만 그게 책임있는 자세"라고 강조했습니다.
매일경제TV 백가혜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