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업계가 임상 중단, 연기 등 '악재'로 분류될 수 있는 민감한 정보를 앞다퉈 '자진' 보고하고 있습니다.
제약업계에 따르면 이달 들어서
한미약품,
유한양행,
녹십자,
유나이티드제약 등 4개 제약사가 임상 연기·중단, 해외 공급 계약 해지 등을 스스로 공개했습니다.
의무 공시 사항이 아닌데도 굳이 알리는 데에는 불필요한 오해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또
한미약품의 늑장공시 파문 이후 제약업계를 향한 투자자들의 신뢰도가 떨어진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