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정부가 보다 강화된 대출규제를 통해 가계부채 급증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예고됐는데요.
하지만 쉽사리 강도 높은 규제 카드를 꺼낼 경우 부동산 시장이 타격을 받고 제2금융권으로의 풍선효과가 나타나는 등의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미 올해의 대출목표를 달성한 은행들은 기준금리와 반대로 높아진 대출금리에 수익성을 보전할 수 있게 되면서, 내심 안도하는 눈치입니다.
백가혜 기자입니다.


【 기자 】
정부의 대출관리 강화대책이 이달 안에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규제의 강도는 세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미 지난 2014년 부동산 활성화 대책 이후 분양물량이 몰리면서 발생한 대출수요가 높은데, 주택대출을 강도높게 규제할 경우 미분양이 발생하는 등 자칫하면 부동산 시장마저 침체될 수 있다는 여론 때문.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정책자금, 신규 부동산 집단대출 면에서 이미 대출총량 규제가 간접적으로 이뤄진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가 대출을 더 조일 경우 소비여력이 많지 않거나 당장 이사철에 집을 구해야 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대출 진입장벽이 높아지면서 타격이 클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반면 올 3분기에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은행들은 당분간 정부의 대출총량 규제에도 이자이익을 통한 수익 시현이 여유로울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연간 대출한도를 거의 달성한 은행들은 기준금리 대비 높은 대출금리로 이익을 얻고 있습니다.

은행들은 겉으로는 금리 조정 계획이 없다며 눈치를 보고 있지만 조만간 주변 은행들의 금리 조정 상황에 따라 추가로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도 보입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10월 현재 국내은행들의 분할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만기 10년 이상) 평균금리는 2.91% 수준으로, 벌써 3%를 넘는 곳도 5곳이나 됩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조정이 대출총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지만 타사와 비교해 낮은 금리로 쏠림현상이 발생할 경우 금리조정은 있을 수 있다"며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다른 시중은행도 가계대출의 또 다른 부분인 신용대출의 가산금리를 최근 조정하는 등 신규대출의 문턱을 조금씩 높이고 있어, 서민대출은 어렵지만 은행들의 수익성은 높아질 전망입니다.

매일경제TV 백가혜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