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정부가 강남 부동산시장의 과열을 겨냥한 맞춤형 대책을 검토하는 등 부동산시장 억제에 나섰습니다.
부동산시장 위축으로 건설사들이 당분간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어서 김용갑 기자입니다.
【 기자 】
정부가 부동산 과열 지역에 대한 투기과열지구 지정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강남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었습니다.
투자자들의 관망세로 매수는 끊기고 가격을 낮춘 급매물도 등장했습니다.
다음달에는 지난해보다 더 많은 분양 물량이 쏟아질 예정이기 때문에 시장의 위축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부동산시장 분석업체에 따르면 11월 서울에서 분양되는 물량은 5천600가구로 지난해 대비 75% 증가하는 등 공급 물량이 늘었습니다.
대형 건설사들은 정부의 부동산 시장 옥죄기식 규제에 고민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아직까지 분양시기를 조정하지는 않고 있지만 이후에 정부 정책에 따라 고민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연말 비수기를 맞아 분양시장의 부담은 덜하지만 당분간 매매거래 감소는 불가피해 보입니다.
▶ 인터뷰(☎) : 변성진 / BN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 "일정 부분의 규제는 들어올 수 있겠으나 시장의 방향을 바꿀 강한 규제는 하지않을 거라는 거죠…(하지만) 어떤 투자자들이라도 약간 기다렸다가 투자할 수 있습니다. 나쁘게 안 본다고 하더라도…"
보금자리론 대출 요건을 강화하는 등 주택시장에 대한 규제우려로
현대산업개발 등 주택부문 매출비중이 높은 건설사는 더 난처한 상황입니다.
지난해 기준으로
현대산업의 주택부문 매출비중은 74%에 달했습니다.
대우건설과
GS건설 등도 주택부문의 매출이 각각 51%, 32%를 차지하고 있어 매출에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투자자들의 관망세로 연말까지 분양시장의 위축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정부의 정책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김용갑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