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월스트리트] 위안화 폭락, 통화전쟁 발발할까?
시시각각 변화하는 글로벌 마켓, 월가엔 지금 무슨일이?
간밤 핫한 이슈를 집중 분석, 관련 국내외 종목의 투자 전략까지 한방에 제시합니다!
<출연자 : 조용찬 미중산업경제연구소 소장, 정윤성 메가경제연구소 소장, 이창원 매일경제tv 연구원>
Q. 뉴욕 증시, 엇갈린 지표…결과는?
A. 부진한 제조업 지표에 투자심리 위축
A. 미국 제조업 활동, 10월 중 -6.8 기록
A. 지난달 미국 산업생산 1개월 만에 소폭 반등
Q. 연준 금리 정상화 시 수혜 업종은?
A. 과거 3차례 금리 인상 이후 주가 6.4% ▲
A. IT·에너지·유틸리티·헬스케어 업종 수혜
A. 낮은 부채비율, 실적 장세 주도주로 부상
Q. 유럽 증시 하락 마감…배경은?
A. ECB 통화정책회의 앞두고 경계감
A. 유가 추가 상승 난항, 증시 하락 마감
Q. 유럽중앙은행, 테이퍼링 시작할까?
A. 마이너스 금리로 유럽은행 재무건전성 악화
A. 테이퍼링 논의에 대한 경계심리 작용
Q. 중국 증시 하락 마감, B주 주도?
A. 위안화 가치 하락, B주 장중 급락
A. 안전자산 선호, 귀금속 섹터 유일하게 강세
Q. 새로운 BOJ 통화정책, 실효성은?
A. 물가상승률 목표치까지 통화완화정책
A. 정책 경기부양 효과에 대한 의구심
A. 통화정책에 대한 신뢰도 하락
Q. 위안화 폭락, 통화전쟁 발발할까?
[조용찬 미중산업경제연구소 소장]
A. 중국의 위안화 절하 용인
A. 국제투자은행 "연말, 7.0위안 붕괴 전망"
A. 미국·중국 경제 펀더멘털과 금리정책 '정반대'
[이창원 매일경제TV 연구원]
A.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 3.4% 이상 하락
A. 유럽 국가, 중국향 수출에 차질
A. 유럽 내 광산·자동차·원자재 관련주 영향
[정윤성 메가경제연구소 소장]
A. 위안화 하락, 아시아 증시 부담으로 작용
A. 중국 경제·달러인덱스 나타내는 위안화
A. 수출 부진·미 금리 인상 가능성, 약세 지속 가능성
Q. 위안화 폭락, 통화전쟁 발발할까…오늘의 한마디는?
조용찬 - 미국에게 위안화는 “태풍의 눈”이다
이창원 - 유럽에게 위안화는 “수출입의 키”다
정윤성 - 중국에게 위안화는 “자존심”이다
※ 투자의 창 매일경제TV는 매일 오전 6시에 방송됩니다.
국내외 경제 뉴스 및 투자전략 분석으로 여러분의 아침을 열어드립니다.
이 방송은 매일경제TV 홈페이지(http:www.mktv.co.kr) 및
케이블방송에서 생방송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방송 종료 후에는 인터넷 다시보기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