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금융당국이 1천300조 원에 육박하는 가계부채의 총량관리에 나서면서 은행권 대출문턱이 높아졌습니다.
은행권은 가계부채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는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조만간 인상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백가혜 기자입니다.


【 기자 】
금융당국이 늘어나는 가계부채의 대책으로 가계부채 총량 관리에 나섰습니다.

오는 19일부터 주택금융공사가 공급하는 보금자리론의 신청을 제한하기로 한 겁니다.

주택금융공사는 보금자리론이 연간목표 10조 원을 벌써부터 초과했다고 배경을 밝혔습니다.

그동안 은행권에서 주택담보대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면서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보금자리론으로 쏠림현상이 발생했기 때문.

이를 두고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본격적으로 억제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증가속도가 빠른 은행들에 대해 특별점검 실시를 예고하면서 은행권에서도 고심하는 모습입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달 분할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 금리(1~2등급)가 가장 높은 시중은행은 우리은행(2.87%)과 국민은행(2.75%)입니다.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위해 일부 시중은행들은 대출 가산금리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은행권에서는 이미 집단대출을 보수적으로 운용하고 있어 중도금 대출 수요자들에게도 당장 타격이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매일경제TV 백가혜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