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갤럭시노트7 단종 여파가 관련 정부기관까지 퍼지고 있습니다.
부실한 행정조치 및 각종 인증, 통신 정책 등이 도마에 올랐습니다.
봉성창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13일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습니다.

▶ 인터뷰 : 홍의락 / 무소속 국회의원
- "9월 21일날 현장검사를 가셨지 않습니까. 기표원하고. 같이가서 봤을때는 어땠습니까? 그때만이라도 어떤 대책을 세웠더라면 2차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을수도…"

▶ 인터뷰 : 이원복 / 한국산업기술시험원장
- "저희들한테 의뢰한 내용이 눌림에 의해서 폭발이 됐다. 그 눌림 현상만 봐달라는 기업의 요청에 따라서…"

문제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지도 못했으면서 성급하게 승인을 내준 것 아니냐는 지적입니다.

같은날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갤럭시노트7 단종에 따른 대책 마련 주문이 이어졌습니다.

최명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판매장려금 회수에 따른 유통점의 피해 발생을 꼬집었습니다.

박대출 새누리당 의원 역시 소비자에 대한 피해대책이 제대로 나오고 있지 않다며 단종을 포함한 리콜 가이드라인 제정을 촉구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여야 의원들은 한 목소리로 정부의 선제적 대응에 대한 아쉬움을 표시했습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기준금리 동결과 함께 갤럭시노트7 사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밝힐 정도로 이제는 한국 경제의 뇌관이 된 상황.

그동안 정부기관이 지나치게 기업에 끌려다닌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매일경제TV 봉성창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