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갤럭시노트7 단종 영향으로 삼성전자의 3분기 잠정 영업이익이 5조2천억 원으로 수정됐습니다.
증권가에서는 이에 대해 3분기 손실을 선반영한 것이 긍정적이라는 평가와 앞으로의 실적을 보수적으로 봐야 한다는 평가가 엇갈리고 있는데요.
이나연 기자입니다.


【 기자 】
갤럭시노트7이 출시되기 전 대다수 증권사들은 삼성전자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쏟아냈습니다.

올해 초 출시한 갤럭시S7을 기반으로 실적 개선에 성공하면서 갤럭시노트7도 높은 판매실적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었습니다.

갤럭시노트7 발화사태가 터지고 난 이후에도 증권사들은 중장기 이익 성장성이 유효하다는 점을 들어 '매수'를 추천했습니다.

그러나 예상을 뒤엎고 갤럭시노트7 단종 문제까지 번지자 일부 증권사들은 삼성전자에 대한 전망을 수정하고 있습니다.

이베스트투자증권과 하이투자증권이 목표가를 200만 원에서 190만 원으로 하향 조정한 데 이어 IBK투자증권과 신한금융투자도 목표가를 내려잡았습니다.

어규진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갤럭시노트7 생산중단에 따른 스마트폰 판매 감소분과 연간 실적 추정치를 하향해 목표주가를 190만 원으로 하향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승우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핸드폰 시장의 치열한 경쟁 상황을 감안할 때, 이번 사태로 인한 여파가 순조롭게 마무리될 것으로 낙관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위상이 회복되기 전까지는 IM부문 실적에 대해 보수적으로 봐야 한다는 겁니다.

하지만 여전히 대형 악재에도 추가적인 주가 하락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현대증권은 "4분기에 추가 발생할 수 있는 갤럭시노트7 예상 비용까지 3분기에 보수적으로 선반영했기 때문에 앞으로 추가 비용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유진투자증권도 "3분기와 4분기 실적 하향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완화시켜준 동시에 4분기 실적 전망에 대한 부담감을 제거해주며 안도감을 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매일경제TV 이나연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