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의 화제가 되고 있는 인물을 통해 이슈를 점검해 봅니다.
화제의 인물입니다.

얼마 전 화제의 인물에서 롯데그룹의 신동빈 회장을 조명한 적이 있었죠? 검찰의 구속기소와 법원의 기각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이제 좀 한 숨 돌리나 했더니 우리가 깜빡 잊은 게 있었습니다. 롯데의 오너리스크는 본래 ‘경영권 분쟁’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을요.

이를 깨우쳐주기라도 하듯 재빠르게 롯데家 장남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이 경영권 싸움을 재점화했습니다. 11일 SDJ코퍼레이션에 따르면 신동주 전 부회장은 신동빈 회장 영장이 기각된 직후인 지난달 30일 신동빈 회장과 이원준 롯데쇼핑 대표, 롯데쇼핑 공시 책임자를 검찰에 고발했습니다.

신동주 전 부회장은 롯데의 중국사업 손실을 끈질기게 제기하고 있습니다. 고발장에서 신 전 부회장은 신동빈 회장과 이 대표 등이 롯데가 인수한 타임즈, 럭키파이 등 중국 현지 기업의 영업권 '손상차손' 약 3천700억 원을 누락한 거짓 연결재무제표를 2013년 5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작성, 공시해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외감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롯데쇼핑은 올해 2월 초 잠정 실적 공시를 통해 지난해 중국 영업권 가치를 재산정하는 과정에서 장부상으로 3천억 원이 넘는 손실을 봤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당시 롯데쇼핑은 3천461억 원에 이르는 대규모 당기순손실에 대해 "특히 중국 현지 기업·사업장 등을 인수할 때 발생한 영업권의 가치가 크게 깎였고, 이를 국제회계기준(IFRS)에 따라 회계 장부에 반영하면서 적자 폭이 커졌다"며 "향후 5년간의 중국 경기가 매우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롯데쇼핑이 중국 타임즈, 럭키파이 등의 기업을 인수하면서 해당 기업의 노하우, 인적 자산, 시너지 효과 등을 고려해 실질 가치 외 추가로 '영업권' 명목의 대가를 지불했는데, 6천억 원에 이르는 이 영업권의 가치가 중국 경기 둔화로 모두 손실 처리됐다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신동주 전 부회장 측은 이런 중국 영업권 손실 사실을 롯데가 일부러 늑장 공시했거나, 장부에 반영된 손실 규모가 실제보다 작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런 고발 사실에 대해 롯데그룹 관계자는 "아직 피고발 사실을 통보받지 못했다"며 "통보받으면 사실 관계를 파악해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신동주 전 부회장은 지난해 7월 경영권 분쟁이 시작된 이후 한국과 일본에서 본인 또는 신격호 총괄회장 명의 등으로 신동빈 회장이나 롯데 계열사, 계열사 대표 등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업무방해·재물은닉 혐의 형사 고소 등 다수의 소송을 제기해 왔죠.

검찰의 전방위적인 수사로 한동안 잠잠하던 신동주 전 부회장, 외부 싸움 일단락되었으니 내부 전쟁 끝장보자는 걸까요? 또다시 소송에 돌입하게 되는 롯데, 소송하다 올해 다 보내게 생겼습니다. 그래도 끝낼 건 끝내야죠. 다시 불붙는 형제의 난, 형의 역습이 이번엔 성공할까요? 동생의 속마음이 궁금해집니다.

오늘의 화제의 인물이었습니다.

※ 증권광장은 매일 오전 10시에 방송됩니다.
국내외 경제 뉴스 및 투자전략 분석으로 여러분의 성공투자를 함께합니다.
이 방송은 매일경제TV 홈페이지(http:www.mktv.co.kr) 및
케이블방송에서 생방송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방송 종료 후에는 인터넷 다시보기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