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대우조선해양의 정상화를 위해 기존 채권단이 지원하기로 했던 4조2천억 원을 넘어선 자금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습니다.
당초 예상과 달리 경영환경이 계속 악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기존 지원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지는 상황에서 채권단이 추가로 자금을 투입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따라서 법정관리가 현실화될 것이라는 우려는 더욱 확대되고 있습니다.
백가혜 기자입니다.
【 기자 】
이덕훈 수출입은행장은 어제(1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대우조선에 4조2천억 원 외에 추가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0월
대우조선해양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과 함께 수출입은행은 대우조선에 4조2천억 원을 지원하는 내용의 경영정상화 방안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번 이 행장의 발언은 금융당국과 산업은행의 추가지원은 '절대 없다'던 기존 입장과 달라져 주목됩니다.
이에 대해 수출입은행측은 "수은은 기존 정상화방안 4조2천억원을 비롯해
대우조선해양 자구계획 7조3천억 원 범위 내에서 정상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해명했습니다.
수은 관계자는 출자전환은 검토할 수 있지만, 4조2천억 원 이외에 추가로 자금을 지원하겠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못박았습니다.
정부와 채권단이 국민의 반발을 의식한 듯 추가지원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대우조선의 유동성 위기는 당장 내년부터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산업은행은 지난해 삼정KPMG의 대우조선 실사 결과를 토대로 대우조선이 올해부터 안정적인 영업이익과 10조 원 이상의 수주금액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었습니다.
하지만 대우조선의 올해 수주 예상액은 3조 원 수준으로 예상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태며, 상반기 당기순손실은 1조2천억 원에 달하고 있습니다.
대우조선이 인력 감축 시기를 앞당겨 연내 3천명 규모의 인력을 줄이고, 도크도 매각하겠다는 등의 자구노력을 이행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자금부족에 대한 경고음은 여전합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는 용역보고서를 통해 "대우조선이 2020년 3조3천억 원의 자금부족 사태를 맞게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앙골라 소낭골 드릴십 인도 지연 등 악재가 해소되지 않는다면 내년 하반기 운영자금 부족으로 법정관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도 덧붙였습니다.
매일경제TV 백가혜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