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내성 표적 폐암 신약 '올무티닙'의 허가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하면서 늑장공시 사태로 급락하던 한미약품 주가 낙폭이 축소됐는데요.
임상 과정에서 사망자가 발생한 만큼 안전성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당국도 내부자 불공정거래 여부를 조사하고 있어 앞으로도 상황을 예의주시해야할 것 같습니다.
이나연 기자입니다.


【 기자 】
식약처는 중증 부작용이 발생해 논란이 일었던 한미약품의 내성 표적 폐암 신약 '올무티닙', 제품명 올리타정의 허가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대신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을 환자에게 자세히 설명하고 복용 동의를 받아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주식시장에서는 급락하던 한미약품 주가가 낙폭을 줄이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한미약품의 늑장공시 사태 여파는 여전히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미약품은 지난달 29일 오후 4시30분쯤 로슈의 자회사 제넨텍과 경구용 표적 항암제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제넨텍과의 계약에 따른 신약 가치는 1조 원이 넘는 규모.

이같은 대형 호재가 나오자 29일 당일 시간외 거래에서 한미약품의 주가가 급등한 것은 물론, 다음날 30일 개장한 직후에도 급상승했습니다.

하지만 오전9시30분쯤 베링거인겔하임과 '올무티닙'의 기술이전계약이 파기됐다고 공시하면서부터 상황은 반전됐습니다.

특히, 악재가 터지면서 공매도 물량도 급속하게 증가했습니다.

30일 한미약품의 공매도물량은 10만4327주로, 상장 이후 최대였습니다.

주가가 하루 만에 널뛰기하면서 피해는 고스란히 투자자들의 몫으로 돌아갔습니다.

증권가에서도 투자자들의 신뢰가 훼손됐다는 점을 들어 한미약품의 목표주가를 잇따라 하향 조정하고 있습니다.

정보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투자자들이 납득하기 어려운 공시시점과 R&D에 대한 센티멘트 약화로 인해 당분간 주가는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금융당국은 한미약품 내부자 가운데 미공개정보를 이용해 불공정거래를 했는지 여부를 면밀히 조사하고 있습니다.

위법사실이 발견되면 파장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매일경제TV 이나연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