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지난주 여야의 강대강 대치로 파행을 거듭해왔던 국정감사.
새누리당이 오늘(4일)부터 국감에 전격 복귀하기로 결정하면서 재개될 전망인데요.
국감 등 이번주 주요 경제일정을 김정우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 기자 】
지난주 국정감사는 여야의 강경 대치로 인해 파행을 거듭해온 상황.
새누리당이 이번주부터 국감에 전격 복귀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한국전력과 공정거래위원회 등에 대한 국감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우선 5일 열리는 한전 국감에서는 전기요금 인하에 대한 압박이 최대 현안으로 떠오를 전망입니다.
올 여름 폭염으로 전기요금 폭탄을 맞은 가정이 속출하고 있는 반면 한전은 성과급 잔치를 벌이는 것으로 알려져 여기에 대한 질타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6일 예정된 공정위의 국감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굵직한 기업인들이 증인으로 채택됐는데요, 증인 채택 일정이 지연됨에 따라 공정위 국감도 뒤로 미뤄질 가능성도 제기되는 모습입니다.
지난달 27일 열릴 예정이었으나 파행됐던 금융위원회 국감도 5일로 대체될 가능성이 부상하고 있으나, 아직 새누리당과의 합의가 이뤄지진 않은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외적으로는 7일 발표 예정인 미국의 고용지표가 관심사입니다.
미국이 올해 9월 금리인상을 하지 못했던 주된 원인이 ‘8월 고용지표’의 부진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되는 가운데 9월 고용지표가 개선됐을지 주목됩니다.
미국의 고용지표 개선시 연준의 금리인상 우려가 글로벌 증시를 강타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9일에는 미국 대선 후보들의 2차 TV 토론이 예정돼 있어 이목이 쏠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매일경제TV 김정우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