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매경미디어그룹이 주최하는 13회 세계지식포럼이 3일간의 일정으로 오늘 개막했습니다.
한 자리에 모인 세계 석학들은 '지식'과 '아시아'를 위기 극복의 실마리로 꼽았습니다.
김유경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앵커】
제13회 세계지식포럼이 2000여명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성대하게 막을 올렸습니다.
장대환 매경미디어그룹 회장의 개막 연설을 시작으로 위기극복 방안과 새로운 미래가치에 대한 아이디어가 쏟아졌습니다.
장 회장은 "세계 경제위기의 해법을 기업가 정신이 왕성한 아시아에서 찾아야한다"고 강조하고 원아시아협력체 구상을 제시했습니다.
▶ 인터뷰 : 장대환 / 매경미디어그룹 회장
- "미국과 한국의 기업가 정신이 살아있는 몇 안 되는 지역이 아시아입니다."
세계지식포럼 참석차 한국을 처음 방문한 김용 세계은행 총재는 "지식이 번영을 창조한다"며 지식의 활용과 전파를 강조했습니다.
▶ 인터뷰 : 김용 / 세계은행 총재
- "(세계은행 직원들은) 본인이 하고 있는 일의 가치를 사람들이 인정을 안 해주고 있고, 전문지식을 전파할 수 있는 통로가 없다고 합니다."
콘돌리자 라이스 전 미국 국무장관은 도약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의 필요성을, 아웃라이어의 저자 맬컴 글래드웰은 약자의 역설에 대해 논했습니다.
유력 대권 주자인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도 세계지식포럼을 찾아 한국의 미래 비전을 내놨습니다.
이밖에 200여명의 석학들도 2박3일의 일정으로 글로벌 위기극복과 아시아의 성장, 기업의 미래, 상생 등을 주제로 의견을 교환합니다.
▶ 스탠딩 : 김유경 / 기자
- "경제위기 때마다 해법을 제시해온 세계지식포럼. 올해는 지식가 아시아가 새 키워드로 제시됐습니다. M머니 김유경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