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층서도 살수있다더니 7층서 뛰어내린 2명 왜 숨졌나?”...에어매트 기능 놓고 ‘시끌’

남녀 투숙객의 추락 후 뒤집혀 있는 에어매트.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경기도 부천 호텔 화재 현장에서 사망자 7명 중 2명이 7층에서 에어매트로 뛰어내렸다가 숨진 것과 관련, 에어매트의 기능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23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전날 오후 7시 34분께 경기도 부천 원미구 중동의 한 지상 9층 규모 호텔에서 불이나 총 19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7명이 숨지고 12명이 다쳤으며, 다친 사람 중 3명은 중상이다.


호텔 내부 810호(7층) 객실에서 연기가 난다는 119 신고가 처음 접수된 것은 화재 발생 5분 뒤인 오후 7시 39분이었다.


부천소방서 선착대는 신고 접수 4분 만인 오후 7시 43분에 화재 현장에 도착했고, 도착 5분 뒤인 오후 7시 48분 곧바로 호텔 외부 1층에 에어매트를 설치했다.


당시 부천소방서가 설치한 에어매트는 가로 7.5m·세로 4.5m·높이 3m 크기다.

10층 높이에서 뛰어내려도 살 수 있게 제작된 장비였다.

이 에어매트의 무게는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126㎏에 달한다.

통상적으로 펌프차 등에 싣고 출동한 뒤 구조대원 4∼5명이 함께 들어 옮겨 설치한다.


화염과 함께 연기가 호텔 안팎을 뒤덮으며 상황이 급박해지자 에어매트 설치 7분 뒤인 오후 7시 55분 7층 객실의 남녀 2명이 뛰어내렸다.


그러나 먼저 떨어진 여성이 에어매트의 가운데가 아니라 한 변의 가장자리 쪽으로 떨어졌다.

그 순간 반동에 의해 에어매트가 뒤집히고 말았다.

여성을 구조할 틈도 없이 불과 2~3초 만에 남성이 곧바로 따라 뛰어내렸다.

이 남성도 큰 충격과 함께 바닥으로 떨어졌다.


두 사람은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모두 사망했다.


23일 오전 전날 화재가 발생한 경기 부천시의 한 호텔에서 경찰 및 소방 관계자 등이 합동 감식을 벌이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구조를 기다리던 남녀가 화재 발생 후 신속하게 설치된 에어매트 위로 뛰어내린 뒤 숨진 것과 관련해 온라인에서는 에어매트의 안정성 등을 놓고 의문이 제기됐다.


현장 목격자들은 ‘119부천소방서’라는 글씨가 거꾸로 된 채 뒤집힌 에어매트의 사진 등을 찍어 온라인에 게재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처음부터 에어매트를 거꾸로 설치한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나왔으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부천소방서 관계자는 “에어매트는 정상적으로 설치됐으나 여성 추락 후 뒤집어졌다”고 설명했다.

소방은 먼저 뛰어내린 여성이 에어매트 가운데 부분이 아닌 모서리 쪽으로 떨어지면서 뒤집힌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고층에서 뛰어내리더라도 전날처럼 에어매트가 뒤집히는 건 흔치 않다는 게 소방의 판단이다.


부천소방서 관계자는 “어제(지난 22일) 설치한 에어매트는 10층용으로 8층에서 뛰어내려도 문제가 없게 제작됐다”며 “여성이 떨어질 때 모서리 쪽으로 쏠리면서 에어매트가 뒤집혔는데 사실 흔하게 일어나는 상황은 아니다”고 부연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화재 현장을 찾아 “(에어매트를) 잡아주는 사람은 없었느냐”고 묻자 조선호 경기도소방재난본부장은 “당시 인원이 부족해서 에어매트를 잡아주지는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답변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제대로 설치된 에어매트가 뒤집히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굳이 소방관들이 모서리를 잡고 있어야 하는 건 아니다”라고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