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닭 넘어 엄청난 실적개선”…132% 오른 ‘이 종목’ 더 간다는데

삼양식품 올들어 132% 급등
아모레 등 화장품주도 상승세

날개 단 K푸드·뷰티 덕분에
소비재 ETF 19% 고공행진

미국 매장 불닭볶음면 [사진 = 삼양식품]
식음료와 화장품 등 필수소비제 테마가 지난 한달동안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 상단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이외에 증시를 좌우하는 특이 섹터가 없는 상황에서 지난 1분기 해외 판매 증가 등으로 구조적인 실적 성장세를 보인 필수소비재 기업에 투심이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필수소비재 기업을 가장 큰 비중(35.74%)으로 구성한 ‘TIMEFOLIO K컬처액티브’ ETF는 지난 한달간 19.07% 수익률로 국내 상장된 ETF 중 전체 5위였다.

1~4위 모두 반도체 혹은 인공지능(AI) 반도체가 사용하는 전력 관련 종목임을 감안할 때 눈에 띄는 수익률을 기록한 것이다.


TIMEFOLIO K컬처액티브삼양식품(7.67%), 에이피알(6.86%), 실리콘투(4.93%) 등 식품과 화장품 테마의 필수소비재 기업을 다수 구성했다.

이밖에 ‘TIGER 화장품’(13.31%), ‘HANARO Fn K-푸드’(11.72%) 등도 필수소비재 관련 기업으로 구성한 ETF들로 준수한 수익률을 거뒀다.


식음료 기업 중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대표 기업은 바로 삼양식품이다.

전 세계적 불닭볶음면 인기에 이날 종가 기준으로 54만원대로 마감하면서 연초대비 주가가 132% 상승했다.

연초대비 2배가 넘는 주가 상승에도 증권가의 목표주가는 계속 높아지는 모습이다.

삼양식품을 업종 내 최선호주로 꼽는 한편 키움증권은 66만원, 한화투자증권 60만원, DS투자증권 60만원 등 목표주가를 고치면서 여전히 상승여력이 남았다는 분석이다.


한유정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일회성이 아닌 엄청난 실적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올해 1분기 삼양식품의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8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5.7% 증가했다.

특히 매출액 대비 해외 비중은 75%를 기록해 일회성 소비가 아닌 구조적 성장의 모멘텀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여기에 라면·만두·김치·조미김 등 국내 주요 가공식품의 올해 수출액도 역대 최대치를 경신할 것으로 관측된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전 세계적으로 한국 콘텐츠가 확산하면서 미국을 포함해 다양한 국가로의 가공식품 수출 지역이 확대됐고, 품목도 라면에 쌀가공식품, 과자, 조미김 등 다각화했다.


정한솔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내 가공식품 수출액은 지난 2018년부터 매년 역대 최고 수출액을 경신하고 있다”며 “올해 1~5월 가공식품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7% 늘어난 31억달러”라고 말했다.


한동안 부진했던 화장품주도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 등 대표주들이 1분기 실적 반등에 성공한 이후 섹터 주가가 반등하는 모습이다.

특히 아이패밀리에스씨, 클리오, 토니모리 등 중소형 화장품 회사의 해외 진출 확대가 더해졌다.

정은빈 미래에셋자산운용 매니저는 “지난해 한국 화장품 수출 규모는 85억 달러로 전 세계 4위 수준이고, 올해 1분기 한국 기업의 대미 화장품 수출액은 약2.1조원으로 전년대비 58.1% 급증했다”고 설명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