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농장 안보계획 기자회견
첩보활동∙식량망 위협 우려
소유권 박탈 방안도 검토중
中소유 농지 서울면적 2배
실제 미국 공군기지 근처에
농지 매입해 공장 건설 계획
 |
미국의 한 축산업자가 소들에게 여물을 주고 있다. [EPA = 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안보 우려와 식량 공급망 수호를 명분으로 중국 등 우려국가 국민들이 미국의 농지를 사들이는 행위를 금지하기로 했다.
아울러 기존에 중국계 자본이 매입해둔 농지 소유권을 박탈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한다.
8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브룩 롤린스 미 농무장관은 이날 ‘미국 농장 안보 계획’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주 정부·의회와 협력해 중국 등 우려 국가들의 미국 농지 매입을 전면 금지하겠다고 밝혔다.
또 중국인들이 보유한 농지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는 한편 과거 매입해둔 토지에 대한 환수 조치(Claw Back)에 나설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도 덧붙였다.
 |
브룩 롤린스 미 농림장관 [AP = 연합뉴스] |
롤린스 장관은 “(미국의 농지가) 범죄자들과 정적들, 적대적인 정권으로부터 오는 위협 아래 놓여 있다”며 “우리는 절대로 외국의 적들이 우리의 땅을 통제하도록 두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동석한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도 “외국의 적들은 더 이상 우리가 지켜보고 있지 않다고 생각해선 안 된다”고 밝혔다.
현재 중국 측이 소유하고 있는 미국 내 농지는 약 30만에이커(1214㎢)다.
서울시 면적의 약 2배에 해당되는 규모로 미국 농지 전체의 약 0.02%에 해당한다.
그동안 미국 정치권에서는 중국이 미국의 농지를 이용해 첩보 활동을 하거나 식량 공급망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
중국 푸펑그룹이 매입한 미국 노스다코타주 농지 [사진 = 그랜드포크스 지역경제개발공사 홈페이지 캡처] |
실제로 중국 자본의 농지 투자가 안보를 이유로 중단된 사례도 있다.
중국 푸펑그룹은 2021년 미국 노스다코타주 그랜드포크스 지역에서 1.5㎢ 규모의 농지를 매입해 옥수수 가공 공장을 건설하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현지 시의회의 반대에 막혀 무위로 돌아갔다.
푸펑그룹이 노렸던 농지가 그랜드포크스 미 공군기지에서 불과 19㎞ 떨어진 곳에 위치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이유였다.
중국 정부는 트럼프 행정부의 움직임에 반발했다.
워싱턴 주재 중국 대사관은 이날 “투자를 정치화하는 것은 미국 시장에 대한 국제적 신뢰를 해칠 뿐”이라고 비판했다.
중국 정부도 “중국 기업의 농업 투자는 미국 내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 기여했다”고 반박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