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에 보낸 서한 SNS서 공개
“시장 개방·무역장벽 없애면 조정 고려”
일본에는 종전보다 1%P 올린 25% 통보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공개한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내는 관세 관련 서한. [트럼프 대통령 트루스소셜 캡처]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한국과의 무역관계가 상호적이지 않다고 주장하면서 8월 1일부터 모든 한국산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이재명 대통령에 서한을 보냈다.
상호관세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부과하는 품목 관세와는 별도의 조치라고 트럼프 대통령은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공개한 서한에서 “우리의 관계는 유감스럽게도 상호주의와 거리가 멀었다”며 “2025년 8월 1일부터 우리는 미국으로 보낸 모든 한국산 제품에 겨우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이 관세는 모든 품목별 관세와 별도”라고 밝혔다.
서한은 이 대통령을 수신자로 지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9일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 뒤 한국에는 현재까지 기본관세 10%만을 부과해왔다.
한미간 협상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8월 1일이 되면 당초 책정했던 수준인 25%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 계속 협상을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에서 “당신이 지금까지 미국에 닫혀 있던 무역 시장을 개방하고, 당신의 관세와 비관세(장벽), 정책과 무역 장벽을 없애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어쩌면 이 서한의 조정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들 관세는 당신 나라와 우리의 관계에 따라서 위로든 아래로든 조정될 수 있다”고 협상의 여지를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한국이나 당신 나라에 있는 기업들이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거나 제조하기로 결정한다면 관세는 없을 것이며 실제 우리는 인허가를 신속하고 전문적이며 정례적으로 해주기 위해 가능한 모든 일을 할 것”이라고 밝히며 한국 기업의 미국 투자를 독려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어떤 이유에서든 당신이 한국의 (대미) 관세를 올리기로 결정한다면 당신이 관세를 얼마나 올리기로 선택하든 우리가 한국에 부과한 25%에 그만큼이 더 추가될 것”이라고 적었다.
한국의 보복관세 부과에 대해 경고 메시지를 날린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한국과 함께 일본에도 상호관세율을 25%로 책정한 서한을 보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에게 보낸 서한에서 “8월 1일부터 미국으로 오는 모든 일본 제품에 25%의 관세(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 4월 트럼프 행정부가 책정했던 상호관세율인 24%에서 1%포인트가 올라간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 보낸 서한과 마찬가지로 “관세는 당신 나라와 우리의 관계에 의거해 상향 또는 하향 조정될 수 있다”고 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9일 만료 예정이던 상호관세의 유예 기간을 내달 1일까지 연장한다고 이날 공식 발표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8월 1일로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이날 서명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은 상호관세 발효 전에, 미국과 관세율 등을 놓고 협상을 진행할 시간을 3주 이상 더 확보하게 됐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일 정상에게 보낸 서한 외에 다른 12개국에 대한 서한을 이날 중 발송할 것이라고 전했다.
12개국이 어느 나라인지는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았다.
레빗 대변인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SNS에 한국·일본에 보낸 서한만 공개한 이유에 대해 “그것은 대통령의 권한”이라며 “그 나라들은 대통령이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