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투자된 건은 영향없을 듯
향후 미·중 협상서 ‘카드’ 확보
 |
챗GPT 생성 이미지.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2일(현지시간) 전세계 국가들을 상대로 부과할 상호 관세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중국 정부가 최근 자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를 제한한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는 이날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최근 자국 기업들의 미국 투자를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거시경제 총괄 부처에 해당하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의 지방 지부들은 최근 몇 주간 미국에 투자하려는 자국 기업들의 등록과 승인 절차 진행을 보류하라는 정부의 지시를 받았다.
다만 이미 투자가 결정된 건이나 미 국채 등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구매나 보유에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중국 발개위가 자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를 제한한 배경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갈수록 심해지는 미국의 관세 압박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라는 해석이 유력하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이날 중국에 34%의 상호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향후 이뤄질 미·중 무역협상에서 대미 투자제한을 ‘카드’로 활용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블룸버그는 “중국은 트럼프 행정부와의 잠재적 무역 협상에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자국 기업의 투자를 제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