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연구소 분석
2027년 韓 0.5%↑·日 0.2%↑’ 전망하기도
美, 日 식품 비관세 장벽 등 지적
닛케이 “日, 마땅한 카드 없어”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EPA 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이어 내놓고 있는 각종 관세 조치로 인해 2027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0.6% 하락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1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아시아경제연구소는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를 시행했거나 시행 예정인 상호 관세, 수입차 관세, 대중국 20% 추가 관세 등에 대한 영향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이 신문은 국제통화기금(IMF)이 전망한 2027년 세계 GDP인 127조 달러(약 18경7000조원)에 이 연구소의 분석을 적용하면 7630억 달러(약 1125조원)가 줄어드는 셈이라고 짚었다.
이 연구소의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는 나라는 정작 미국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없는 상황과 비교해 2027년 GDP가 2.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산 물품의 수입 가격이 상승하고 중국산 부품에 의존하는 미국 기업의 수익도 압박받을 것이라는게 이 신문의 분석이다.
연구소는 미국 관세 정책으로 인해 중국도 2027년 GDP가 0.9% 줄어들겠지만, 한국과 일본은 오히려 각각 0.5%와 0.2%가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해 연구소는 상호 관세가 상대국과 동등한 관세를 부과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일본처럼 세율이 낮은 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적고, 중국산 제품이 팔리지 않는 대신 한국과 일본 제품 판매가 늘어날 것이라는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하지만 닛케이는 “실제 영향은 극히 불투명하다”며 일본에는 쌀처럼 높은 관세를 적용하는 물품이 있고 미국 정부가 이를 문제 삼아 일본을 비판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은 수산물과 가죽 제품 등에 대한 일본의 관세가 높다고 지적하고, 쌀·밀·돼지고기 관련 비관세 장벽과 운송·금융 서비스 장벽 등도 비판하고 있다.
닛케이는 “미국산 농산물 수입과 자동차 규제 재검토를 지속해서 요구하면서 고관세로 압력을 강화할 우려도 있다”며 “(관세) 정책 설계에 따라서는 일본 경제에도 심각한 타격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일본 정부는 미국 경제에 일본이 크게 공헌한다는 점 등을 부각해 관세 대상에서 자국을 제외해 달라는 요청을 거듭해서 했지만, 이러한 설득 전략이 사실상 실패하면서 결국 ‘관세 발동 이후 대응’으로 초점을 옮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지난 31일 “지금부터는 관세가 가장 중요하다.
실패할 수 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일본이 미국과 관세 협상에서 내놓을 만한 마땅한 카드는 없는 상황이다.
닛케이는 “일본 경제의 뼈대인 자동차에 대한 25% 추가 관세가 발표되면서 산업계에서는 체념한 채 정부 교섭을 관망하는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