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도쿄 증시서 4.05% 하락
車관세로 美 경기 우려감 커져
반도체·자동차 종목 급락 충격
 |
31일 일본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지수가 급락한 가운데 도쿄 시민이 증시 전광판 앞을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
미국발 악재의 영향으로 일본 증시가 큰 폭 하락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밝힌 자동차 등에 대한 추가 관세로 인해 미국 경기가 둔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투자자들의 심리에 악재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31일 도쿄 주식시장에서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지수는 전날보다 4.05%(1502포인트) 하락한 3만5617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해 9월 11일 이후 약 7개월 만에 3만6000 밑으로 떨어졌다.
이날 닛케이지수를 구성하는 225개 종목 대부분이 하락했다.
특히 반도체·정보기술(IT) 종목의 하락 폭이 두드러졌다.
반도체 장비 업체인 도쿄일렉트론은 6.57% 하락했으며, 어드반테스와 디스코 등도 각각 7.65%, 8.38% 급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를 예고한 자동차 종목들도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세계 최대 자동차 회사인 도요타는 3.13% 하락했으며, 혼다는 3.07%, 닛산도 4.03% 하락세를 기록했다.
이날 시장에서는 닛케이지수 급락의 1차 요인으로 미국 경기 우려에 대한 공포감을 꼽는 분위기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도카이도쿄인텔리전스의
야스다 히데타로 애널리스트를 인용해 “미국 경기가 악화된 상황에서 일본 경기가 긍정적 흐름을 가졌던 적이 없었다”며 “수출종목 뿐 아니라 내수주라도 살 이유를 찾기 어렵다는 시장 인식이 커지면서 부동산주나 철도주도 하락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정부가 예고한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추가 관세도 시장에 악영향을 줬다.
닛케이는 미국이 4월 2일(현지시간)부터 수입차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경우 일본 경제가 최대 13조엔(약 126조원)의 경제적 타격을 입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일본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2% 남짓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이는 지난해 일본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인 6조261억엔(약 58조5000억원)이 ‘0’이 된다는 가정에 기반한 것이지만, 대미 수출이 10%만 줄어도 일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1조엔이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분위기가 자동차 종목에 대한 ‘매도’로 강하게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
급락세를 보인 닛케이225지수. [연합뉴스] |
여기에 3월 31일은 일본 기업이 대부분 채택하는 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의 마지막 날이었다는 점도 영향을 줬다.
도쿄증권거래소는 기업의 시세 조정을 막기 위해 회계연도 마지막 5영업일 동안 기업의 자사주 매입을 깐깐하게 보고 있다.
일본 증시에서는 이를 ‘블랙 아웃 기간’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시바시 다카유키 일본골드만삭스증권 부사장은 닛케이에 “배당을 받기 위해 개인투자자들은 지난주 대부분 매수를 끝냈고 기업은 주가 급락을 막기 위한 자사주 매입이 불가능했던 상황”이라며 “투자 심리 악화를 지탱하는 매수 세력이 거의 없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도쿄 증시에 대한 단기 전망도 부정적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혼란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서 발표되는 제조업 체감지수나 고용 통계 등이 부진하게 나올 경우 추가적인 하락도 예상할 수 있는 분위기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