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산 자동차 관세 부과 발표하는 트럼프 미 대통령.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 적자 국가를 겨냥한 관세만 아니라 전 세계 거의 모든 무역 상대국에 최대 20%까지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다음달 2일(현지시각) 발표할 예정인 새로운 관세 정책의 구체적 방식을 두고 막판 조율에 나섰다고 30일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당초 트럼프 대통령은 상대국의 관세 수준에 맞춰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매기는 ‘맞대응 관세’의 도입을 주장해왔으나 최근 들어 관세 부과 국가 범위를 대폭 확대하고 관세율도 높이는 방안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복수의 미국 행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무역 적자를 기록 중인 국가들에 대해 일괄적인 ‘단순한 숫자’로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선호하고 있으며 이는 최대 20%에 이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미국 정부 관계자는 “대통령은 ‘크고 단순’한 조치를만들고 싶어한다”며 “관세 부과 대상은 기존에 재무부 장관이 ‘더티 15(무역 불균형 주요 15개국)’라고 지목한 나라들을 넘어설 것”이라고 WSJ와 인터뷰에서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