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지주의 보통주 자본비율(CET1) 확정치가 잠정치 보다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비율은 금융사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전날 공시한 2024년 회계연도 사업보고서에서 지난해 말 기준 보통주 자본비율이 12.13%이었다.
이는 지난달 실적 발표 당시 잠정적으로 내놓은 12.08%보다 0.05%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우리금융의 보통주 자본비율은 지난 2022년 말 11.57%, 2023년 말 11.99%, 2024년 말 12.13% 등으로 매년 꾸준히 오르고 있다.
이 비율이 12% 선을 웃돈 것은 지주 출범 후 이번이 첫 사례다.
특히, 지난해 3분기 말 11.95%에서 4분기 말 12.13%로 0.18%포인트 올라 4대 금융지주 중 유일하게 전분기 대비 수치가 개선됐다.
연말 원달러 환율이 치솟아 보통주 자본비율이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자산 리밸런싱(재조정) 등을 통해 이를 방어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그 덕분에 실적 발표 직후 다른 금융지주와 달리 외국인 지분율이 확대되고 주가가 상승세를 타는 등 투자자 기대를 받기도 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연내에 보통주 자본비율을 12.5%로 올릴 계획”이라며 “향후 보통주 자본비율 12.5~13% 달성 시 지난해 33.3%였던 총 주주환원율을 40%로, 13%를 넘기면 50%로 순차적으로 상향할 것”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