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이후
서울 아파트 거래량 5천건 돌파
2월 거래량 5318건 기록해
작년 8월 후 6개월來 최고
대출금리 인하 효과도 겹쳐
잠삼대청 거래량 70% 늘어

서울 송파구 ‘잠실 엘스’ 아파트 단지 전경. 매경DB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반년 만에 5000건을 돌파했다.

서울시가 지난달 잠삼대청 (잠실·삼성·대치·청담동)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한 뒤 강남권뿐만 아니라 마용성(마포·용산·성동) 지역까지 매수세가 올라오면서다.


16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날 기준 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5138건을 기록했다.

이는 작년 8월(6537건) 이후 6개월 새 가장 많은 수준이다.

아직 신고 기한이 보름 가까이 남은 만큼 거래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 최대 수혜지로 꼽히는 송파구의 2월 거래량은 428건으로 전체 자치구 중 가장 많았다.

이밖에 강남구 419건, 강동구 344건으로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서울아파트 거래량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많이 늘어나는 추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가 이날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잠삼대청 지역의 규제 해제 후 30일간 아파트 거래량은 184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규제 해제 이전 같은 기간(107건)과 비교해 71.9% 증가한 것이다.


평균 매매가격도 해제 후 30일간 전용 84㎡ 기준 27억원으로 규제 해제 전 30일간(26억3000만원)보다 2.7%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효과는 강남권뿐만 아니라 비강남 지역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선호도가 높은 마포구와 성동구 등 지역에서도 규제 해제 이후 거래량이 늘어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마포구 2월 거래량(289건) 중 69.2%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계약이 이뤄졌다.

성동구 거래의 68.6%도 규제 완화 이후 체결됐다.


물론 이러한 거래량 증가가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에만 따른 건 아니다.

가계대출 한도 관리로 작년 말 막혀있던 대출이 풀리며 부동산 매수세가 올라오기 시작했다.

여기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대출 금리도 다소 내려오는 추세여서 매수세가 붙은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라는 대형 호재가 강남권에 발생하며 시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서울시는 “부동산 실거래 동향과 현장 상황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